고유가 등 수입단가 상승으로 대외구매력 저하

그러나 수출물량이 크게 늘면서 소득교역조건 지수는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3.4분기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3분기의 순상품교역조건지수(2000년=100)는 71.2로 작년동기 대비로 8.2% 떨어졌고 전분기 대비로도 1.7% 하락,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눠 100을 곱한 수치로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뜻한다.
이 지수가 낮을수록 단위 수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이 줄어든다.
즉 순상품교역조건지수 하락은 국내 소비자들의 대외구매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체감경기악화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수는 2005년 1분기 81.3에서 시작해 2분기 78.9, 3분기 77.6, 4분기 78.2, 올해 1분기 75.1, 2분기 72.4 등으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3분기에 순상품 교역조건이 악화된 것은 수출단가가 2.9% 상승한 데 비해 수입단가 상승률은 4.7%로 수출단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한편 3분기 수출물량지수는 209.5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9% 상승했으며 수입물량지수는 154.5로 11.5% 올라갔다.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총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뜻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49.2를 나타내 작년 동기보다 7.3% 상승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