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든 양보와 타협으로 타결 시키려는 의원들 중심 돼야”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운영 중인 각각 특위 활동 시한이 불과 10일 밖에 남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개헌과 선거제도는 밀접하게 연계된 사안”이라며 “통합특위엔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의 적극적 의지를 갖추는, 그리고 어떻게든 양보와 타협으로 타결시키려는 의원들이 중심이 돼 보다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원내대표는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에 대해선 “지금까지 특위 활동을 통해 각각의 쟁점이 정리됐고 결단만 남겨두고 있는 상태인데 민주당과 한국당은 특위 활동 기간 연장을 두고 조건을 내걸면서 대립하고 있다”며 “조건의 합의가 안 되면 개헌도 선거제 개혁도 포기하겠다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지금의 선거제도는 국민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 그래서 그 자체가 정의롭지 못한 제도”라며 “다당제가 제도적으로 정착된 선진국들에선 비례성을 강화해 득표율과 의석 비율을 일치시킨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독일 의회의 사례를 들어 “이런 제도의 힘을 통해 소수의 민의를 반영하거나 거대 정당들은 적대적 대립이나 사활적 싸움을 하는 대신 여러 소수정당들과 대연정, 소연정을 이뤄가며 대화와 타협으로 갈등을 해결해내고 있는 것”이라며 “선거제도 개혁을 통해 국가 백년대계의 국정운영 시스템을 바꿔낸다면 그것만으로도 20대 국회는 두고두고 역사와 국민한테 평가 받을 것”이라고 여야에 협조를 촉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