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교체 비용 3만4천원…집단소송 18만명 넘어서

31일 애플코리아에 따르면 자사 홈페이지에 “Apple은 보증 외 iPhone 배터리 교체 비용을 원래 가격에서 $50에 상응하는 66,000원을 ($79에 상응하는 100,000원에서 $29에 상응하는 34,000원으로) 인하하기로 했다”며 “새로운 가격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iPhone 6 이상 사용자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까지 전 세계 적용된다”고 밝혔다.
애플의 이런 조치에도 국내 소비자의 반응은 싸늘하다. 아이폰6 이용자인 이모(33)씨는 “애플의 그동안 국내 A/S정책이 소홀하면서 비판을 받은 적이 많았음에도 계속 사용했었는데 이번 보상 대책을 보니 결국은 돈을 내고 교체하는 것인데 이게 보상 대책인지 맘에 들지 않는 게 사실이다”며 “집단소송에 참여할지 고민이다”고 말했다. 이모씨는 애플 충성고객으로 아이폰 출시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줄곧 아이폰만 이용했다.
애플의 충성고객 조차 이번 애플의 보상 대책이 맘에 들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애플의 진정성에 의구심이 들고 있다. 애플의 실수임에도 배터리 교체 비용을 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는 점과 이미 교체를 한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번 보상책에서 빠져 있어 소비자의 분노만 키우고 있다.
한 법무법인에는 집단소송에 참여하는 자만 수만명에 이르고 있다. 애플 집단소송을 준비 중인 법무법인 한누리는 지난 29일자 보도자료에서 “오전 11시 현재 3만 4천 312명으로 집계됐다”며 “불과 접수 25시간 만에 3만 4천 명을 돌파한 것은 아이폰 성능저하 업데이트 스캔들에 대한 한국 고객들의 격앙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고 말했다.
31일 기준 집단소송에 참여 희망을 밝힌 인원만 18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누리는 “애플이 제시한 보상대책은 애플 행위의 위법성 수준 및 고객들이 입은 피해 (특히 이미 배터리교체 대신 기기교체를 선택한 고객들이 입은 피해)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된다”며 “내년 1월 중 구체적인 법적조치방향을 결정한 후 소송참여희망자분들의 의사를 묻고 그 결과에 따라 2월 초에 법적 조치를 개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