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19일 이같이 밝히고 “정부가 지난 2005년 5월 ‘영어교육 활성화 5개년 종합대책’을 발표한바 있지만, 여전히 지역간·계층간 영어교육 환경의 불균형은 시정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 교육위원회 차원에서 ‘영어교육진흥법안’을 심도 있게 논의해 영어교육 환경 마련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조기유학 등 영어교육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는 반면,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대책과 기반 마련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라며 “원어민 교사 확보 등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5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영어의 경제학’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영어를 배우기 위해 쏟아 붓고 있는 사교육비만 해도 무려 연간 14조원 이상 달하지만, 한국은 아시아 12개국 중 외국인이 영어 소통을 하는데 가장 힘든 나라로 평가됐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