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 채울 수 없어 안전사고 위험 증가
세균 등 위생상태 불량
일회용 위생시트 비치된 곳 한 곳도 없어
세균 등 위생상태 불량
일회용 위생시트 비치된 곳 한 곳도 없어
11일 한국소비자원은 수도권 다중이용시설 여자화장실에 설치된 접이식 기저귀교환대 30개에 대한 실태조사 및 이용경험자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와 같이 밝혔다.
기저귀교환대 10개 중 3개는 벨트 채울 수 없어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벨트를 하지 않으면 아이가 떨어지기 쉽고, 낙상사고의 경우 머리가 먼저 떨어져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기저귀 교환대 30개 중 10개(33.3%)는 벨트‧버클 불량으로 벨트를 아예 채울 수 없었다.
실제 최근 1년 이내에 기저귀교환대 이용경험이 있는 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347명, 69.4%)은 기저귀교환대에서 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위험하다고 답했고, 실제로 안전사고로 아이가 다친 경험이 있는 부모의 대부분(32명 중 24명, 75%)은 당시 아이에게 벨트를 채우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도 기저귀교환대 관련 위해사례가 최근 3년 11개월(2014년 1월~2017년 11월)간 총 26건 접수됐으며, 피해자 대부분(25건 중 20건, 80.0%)은 12개월 이하인 ‘만 0세’였고, 주로 뇌진탕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머리 및 뇌’(25건 중 19건, 76%)를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저귀교환대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환대 4개에서 대장균이, 교환대 7개에서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일반세균은 최대 38,640CFU/100㎠가 검출됐다.
매트에서 검출된 일반세균의 평균값(4,052CFU/100㎠)은 ‘화장실손잡이’(2,400CFU/100㎠)의 약 1.7배 수준이었다. 특히 4개 매트에서 검출된 일반세균수는 ‘물수건’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고, ‘쇼핑카드 손잡이’(11,000CFU/100㎠)의 약 1.6배~3.5배에 달했다.
이어 기저귀교환대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일회용 위생시트가 비치된 곳은 조사대상 30개 중 한 군데도 없었고, 기저귀교환대를 닦을 수 있는 물티슈와 같은 세정용품 또한 대부분(28개, 93.3%) 비치되지 않았으며, 3개 장소(10.0%)에는 기저귀를 버릴 수 있는 휴지통조차 없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기저귀교환대 안전관리‧감독 강화 ▲위생기준 마련 및 위생관리 강화 ▲기저귀교환대 의무설치시설 범위 확대 ▲편의용품 비치 및 지속적인 유지‧점검 등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