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판’ 된 신년인사회, 사전선거운동 우려
‘민주당 경선판’ 된 신년인사회, 사전선거운동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포구 신년인사회서 서울시장 후보인 박영선·민병두·전현희·정청래 연단 올라
▲ 11일 11시 K-Turtle에서 마포구 신년인사회가 열린 가운데 이 지역의 국회의원도 아닌, 더불어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군들이 대거 참석해 논란이 일고 있다. 우측부터 전현희, 민병두, 박영선 민주당 의원과 같은 당 정청래 전 의원.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6·13지방선거가 5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역주민들에게 새해 인사를 올리는 신년인사회 자리마저 돌연 선거운동 현장으로 변질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11일 서울 신수동 K-Turtle(옛 거구장)에서 열린 마포구 신년인사회 역시 이런 비판을 피해가지 못했는데, 구청장과 구 의회 의장, 지역구 국회의원, 원외위원장 등 해당 지역 공직자와 정치인들이 마포구민들과 상견례 하는 자리였지만 기존 관례를 깨면서까지 다분히 지방선거를 의식한 모습들이 곳곳에서 포착돼 빈축을 사고 있다.
 
무엇보다 구청장 재선 의지를 분명히 한 박홍섭 현 마포구청장이 30분 이상 자기 PR에 열을 올리던 건 우선 차치하더라도 현 지역구 국회의원인 손혜원 의원(마포을)이 불참한 가운데 손 의원 후원회장에 불과할 뿐 현재 별 직함도 없는 정청래 전 의원이 마치 현 지역구 의원인양 노웅래 의원(마포갑)에 바로 이어 연단에 오른 점이나 정작 마이크를 잡아야 할 원외위원장에 대해선 ‘영상 소개’로 대체해 버린 부분 등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 뿐 아니라 마포지역구 의원도 아닌 박영선, 민병두,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까지 이번 신년인사회에 나타나 목례 인사를 하는 정도에 그치는 게 아니라 마찬가지로 연단에 오른 뒤 서울시장이 되면 자신이 어떻게 마포구를 발전시킬 것인지 역설해 신년인사회는커녕 마치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장을 방불케 했다.
 
특히 현재 민주당에서 차기 서울시장에 도전할 것으로 알려진 후보군이 한 자리에 모인데다 이들에 앞서 연단에 올랐던 박원순 서울시장조차 “후보가 많이 나올수록 좋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사실상 사전선거운동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 박원순 서울시장(좌측에서 세번째)이 박홍섭 마포구청장(좌측에서 두번째)과 함께 마포구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이 같은 분위기 때문인지 이날 행사에 참석했다가 분통을 터뜨린 한 지역주민은 “원래 신년인사회 행사는 구 집행부, 구 의회, 구민들 간의 새해 상견례 하는 자리인데 이런 의전을 해선 안 된다”며 “정당 행사가 되면 안 되는데, 다른 지역구 정치인들이 여기 와서 이러는 게 말이 되느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실제로 현재 공직선거법상 선거일 전 22일간만 선거운동이 가능할 뿐 선거일 전 6개월 동안은 사전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다 보니 이 같은 모습은 이미 각종 제약이 생긴 지방선거 후보들이 자치구 신년인사회를 통해 자기 홍보에 나서려는 꼼수를 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런 과잉 의전, 불공정 의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비단 마포구 뿐 아니라 민주당 소속 구청장들이 진행하는 신년인사회에서 두드러지고 있는데, 심지어 정의당조차도 서울시당 성명을 통해 “구청에서 진행하는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주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해당 지역 정당 대표자의 인사는 못 듣고 타 지역 국회의원들의 인사까지 들어야 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고 민주당의 이 같은 행태를 비판한 바 있다.
 
더구나 신년인사회란 행사 취지와 달리 의례적인 인사나 덕담을 건네는 데 그치지 않고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이 행사와 무관하게 지역발전 공약으로 비쳐지는 발언을 쏟아 내거나 지방자치단체장이 내빈으로 참석한 이들을 선전하는 행위 등은 선거법에 위반될 수 있어 앞으로 남은 다른 자치구 신년인사회에서도 이런 논란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이 같은 일들이 일어나는 이유와 관련해 마포지역의 L 모씨는 “마포구가 구 의회 의장, 구청장, 시의원 5명, 국회의원 2명, 시장이 전부 민주당 소속이라 이를 견제할 야당이 없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앞으로 마포구민들이 선출직 공직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