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시행하는 것도 아닌 서울시 단독 시행 누굴 위한것?

지난 14일 서울시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서울특별시청 서울 미세먼지 비상조치 발령. 내일(15) 출퇴근시 대중교통 무료, 승용차 이용 자제 및 대중교통 이용바랍니다.”는 문자가 왔다.
이 메시지는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으로 에측되자, 서울시가 비상저감 조치를 발령한 것이다. 이번 조치로 서울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서울교통공사 운영노선 1~8호선, 서울 민자철도 9호선 우이신설선 등이 첫 차부터 오전 9시까지 오후 6시부터 9시까지는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하지만 경기도와 인천시는 서울과 같은 정책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결국 서울에서 살지 않는 시민들은 금액을 지불해야한다.
이에 많은 시민들이 이런 경우는 무슨 경우인지 비판하고 있다.
한 시민 장씨는 “미세먼지를 없애기 위한 노력은 좋다. 하지만 과정이 잘못 된 것 같다. 나는 업무를 위해 차를 타고 다녀야하는데, 나 같은 경우는 혜택도 보지 못하는 것 아닌가? 단순하게 대중교통 무료로 미세먼지 절감은 말이 안된다. 대중교통 이용 말고 조금 더 확실한 대책을 내놓아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최씨는 “갑작스런 대중교통 무료 정책 황당하다. 전국적으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이 시행하고 미세먼지 줄이기를 위한 조치라고 한다면, 믿을만 하겠지만 서울시만 단독적으로 진행한다는 것은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장 재출마를 위해 인기를 끌기 위한 행동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박씨는 “물론 미세먼지 절감은 필요하다. 그렇다면, 차라리 일본처럼 주차장 미확보시 차량 구입 제한을 한다거나, 전기차량 구입 유도를 위한 전기차 충전 주차장 확보 등을 위한 정책에 세금을 활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지 않을까? 또 서울시뿐만 아니라 정부차원의 정책도 필요하다.” 등의 의견을 보였다.

한편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마포구 신년인사회서 “후보가 많이 나올수록 좋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사전선거운동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바 있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