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가전 해외 직구보다 국내 가격이 더 저렴할 수도…‘AS는 안돼’
생활가전 해외 직구보다 국내 가격이 더 저렴할 수도…‘AS는 안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개 제품 중 7개 제품은 국내구매가 4개 제품은 해외직구가 저렴
AS 받기 어려워
▲ (좌) 국내 (우) 해외 국내‧외 판매가격 조사대상 사진 / 소비자원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소비자원이 주요 해외직구 생활가전 5개 품목 11개 제품의 국내‧외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7개 제품은 국내구매가, 4개 제품은 해외직구가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소비자원은 이와 같이 밝히며, 해외직구 시 더 저렴한 제품은 국내 판매가와 최고 68.8%에서 최저 10.3%의 차이를 보였고, 국내 구매가 더 유리한 제품은 최고 34.2%에서 최저 0.8%의 가격 차이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경우 조사대상(2개 제품) 모두 해외직구가 유리한 반면, 커피머신은 조사대상(4개 제품) 모두 국내 구매가 유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전기레인지와 블렌더는 모델에 따라 유블 리가 달라 구입 전 제품별‧모델별 국내‧외 가격을 꼼꼼히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해외직구 상품은 국내에서 AS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했다. 특히 전기레인지, 진공청소기 등 해외브랜드 생활가전은 비교적 고가이고 사용기간이 길기 때문에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하자에 대비해 국내 AS 가능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조사대상 6개 브랜드(네스프레소, 다이슨, 샤오미, 일리, 지멘스, 키친에이드) 중 유일하게 네스프레소만 해외직구 상품 가운데 국내에서 판매하는 동일 모델, 국내 정격전압인 220V 제품에 한해 AS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멘스와 다이슨은 각각 FD넘버, 시리얼넘버 관리로 국내 공식 수입업체를 통해 수입된 제품에 대해서만 본사 정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해외브랜드 생활가전을 해외직구로 구매할 경우 ▲제품별‧모델별 국내‧외 가격을 꼼꼼히 비교하고 ▲배송 중 파손 위험이 크거나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한 제품은 국내 AS 가능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