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림픽 티켓 강매?…재계 “후원‧기부금 냈는데…”
정부, 올림픽 티켓 강매?…재계 “후원‧기부금 냈는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농단 여파에 호되게 당한 대기업 정부 요구에 난처한 입장
▲ 정부의 올림픽 티켓 구입 요구에 올림픽에 후원한 대기업들이 난감한 상황이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평창동계올림픽이 코앞으로 다가오는 가운데 재계 및 공공기관 참여로 후원금과 기부금 총액은 1조646억원(지난 19일 기준)을 조직위원회의 당초 목표치인 9400억원을 훌쩍 넘겼다. 반면 입장권 판매율은 70% 안팎으로 머물면서 흥행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티켓 판매가 예상만큼 팔리지 않자 정부는 대기업을 상대로 적극 사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지난 10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성공을 위한 후원기업 신년 다짐회'에서 이낙연 총리는 "올림픽의 성패는 첫날 개막식(2월9일)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있느냐에서 판가름난다"며 “아직은 조금 더 갈 길이 남아있다. 큰 부담이 안 되는 범위에서 도와달라”며 후원을 요청했다. 정부까지 나서 후원 기부금까지 낸 기업에 재차 티켓 구입 요구에는 티켓 판매가 완판 되지 못할 경우 올림픽 흥행에 먹구름이 낄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실제 22일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시장 조사기관 두잇서베이와 공동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창올림픽 관람은 ‘TV로 즐길 것’(53%)이 가장 많았다. ‘온라인 및 모바일로 동영상을 볼 것’(25%)이 그 뒤를 이었다. ‘직접 찾아가 관람할 것’은 7%로 극히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국민들이 비싼 티켓값과 숙박비 시간‧정신적 여유가 없어 직접 관람을 방해하는 요소로 지적됐다.

이런 조사 결과에 따라 평창 올림픽을 후원하거나 기부금을 낸 대기업을 상대로 정부가 티켓 판매 요구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올림픽에 후원한 기업들은 정부의 이같은 티켓 구입 요구에 난감한 상황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국정농단 사태로 인해 미르‧K스포츠 재단에 후원을 한 대기업을 바라보는 싸늘한 국민의 시선이 걷히지 않은 상태다. 그런데 정부에서 티켓 구매 요구에 부응할 경우 '新 정경유착'으로 비쳐질 수 있어 난처한 입장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미 올림픽에 후원한 기업들은 홍보와 마케팅 등 평창 올림픽 알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티켓 구매까지 요구한 것에 난처한 상황이다”며 “나중에 뒷탈이 날까봐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일단 재계에서는 한화그룹 및 포스코가 티켓 대량 구매에 나선 상황이다. 한화그룹은 대기업 중 첫 사례로 지난 4일 1400장 티켓과 올림픽 기념품을 대량 구입했다. 포스코도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피겨스케이팅 등 10여 개 종목 입장권 약 1300장을 구입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바보 2018-01-25 10:19:49
입장권 강매 하면 안된다 지금이 군사정권 시절도 아니고~~~ 공무원 강매도 안되고 기관별 출장 달아주는 조건도 안된다 자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