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6년 만에 최대 달성, 재무건전성도 개선

포스코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60조6551억원, 영업이익 4조6218억원, 별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8조5538억원, 2조9025억원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액은 2011년 처음 60조원대를 기록한 이후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2015년 전까지 60조원을 유지했다. 2015년 50조원대로 떨어졌다가 3년 만인 지난해 60조원대로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매출은 4조6218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14.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조6218억원으로 62.5% 올랐다. 당기순이익은 2조9735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183.7% 증가했다.
포스코는 “2011~2014년 당시와 비교하면 국내외 계열사 80여개를 줄이고도 다시 60조원대로 올라선 것이라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해외철강 부문 합산 영업이익은 4천763억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PT.Krakatau POSCO가 2014년 가동 후 처음으로 흑자 전환했으며, 멕시코 자동차강판 생산공장 POSCO Mexico와 인도 냉연 생산법인 POSCO Maharashtra는 가동 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지난해 100억원대 머물렀떤 비철강부문 합산 영업이익이 1조927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났다. E&C 부문이 흑자로 돌아서고 트레이딩, 에너지, ICT, 화학·소재 등 전반에 걸쳐 고르게 실적이 개선된 결과다.
별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7.4%, 10.1% 상승한 28조5538억원, 2조9025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2조5457억원으로 집계됐다.
포항3고로 개수 및 설비 합리화 등으로 전년 대비 생산, 판매량은 다소 줄었지만 타사 제품보다 기술력과 수익력이 월등한 월드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이 53.4%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재무건전성도 개선됐다.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전년 대비 7.5%p 낮아진 66.5%로 2010년 이래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별도기준 부채비율 역시 전년대비 0.5%p 낮아진 16.9%로 연간단위 사상 최저 수준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연결기준 투자비는 지난해 보다 1조6000억원 증가한 4조2000억원을 집행키로 했다. 매출액 목표는 연결기준 61조9000억원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올해 제철소 설비 신예화 투자 외에도 리튬,양극재 등 신성장 사업 투자와 에너지, 건설 등의 신규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며 “철강부문장 제도를 신설하면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비철강 부문 개혁 등 그룹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한 권오준 회장의 전략이 성과를 거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