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한 목소리 내는 가운데 한국당만 논평 안 내

국민의당은 이날 조용범 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정의로워야 할 검찰에서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고, 이를 조직적으로 은폐하고자 했다”며 “서지현 검사의 용기 있는 ‘미투’에 국민의당은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고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조 대변인은 “검찰 조직에 깊이 뿌리 박힌 시대착오적 사고를 개혁하는 근원적 접근이 절실하다”며 “이번 서 검사의 결단은 성폭력 피해자의 떳떳한 자발적 폭로를 의미하는 ‘미투 운동’의 서막을 알리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같은 날 바른정당 역시 황유정 대변인 논평을 통해 “검찰의 내부 성폭력 의혹 조사지시를 환영한다”며 “서 검사의 폭로는 전세계에 불고 있는 미투 운동을 대한민국으로 연착륙시켰다”고 호평을 보냈다.
황 대변인은 이어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으나 감춰진 성폭력 사실이 곳곳에서 해방되는 운동으로 확산되길 바란다”며 “규범에 짓눌리고 체면에 묶여 숨어있던 다른 성폭력 사건들도 이번 기회에 모두 조사되고 죄 값을 치룰 수 있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반면 당시 서 검사 성추행 사건을 무마하려 했던 인물로 지목된 최교일 의원이 소속되어 있는 자유한국당에선 같은 날 이번 사안과 관련해 일언반구 언급조차 하지 않은데다 최 의원도 이날 “서 검사와 전혀 알지도 못하는 사이”라며 “이 사건 내용을 전혀 알지 못했고, 이번 언론 보도를 통해 알게 됐다”는 내용의 입장자료만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창원지검 통영지청 소속인 서 검사는 지난 29일 JTBC뉴스룸에 출연해 지난 2010년 10월 30일 한 장례식장에서 법무부 장관을 수행하고 온 당시 법무부 간부였던 안태근 검사로부터 강제추행을 당했었다며 이에 대한 사과를 받기로 했음에도 사과는커녕 오히려 자신이 2014년엔 사무감사에서 검찰총장 경고를 받고 2015년에는 지방 발령 받았다고 주장했는데, 앞서 2010년 최교일 의원은 감찰에 협조하라고 서 검사를 설득하던 임은정 서울북부지검 부부장검사에게 “피해자가 가만히 있는데 왜 들쑤시냐”고 호통 쳐 사건 무마 의혹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