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경유차 폐차↑‧17개시 '제한' …가스저감장치‧LPG차 '개조'
노후 경유차 폐차↑‧17개시 '제한' …가스저감장치‧LPG차 '개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미세먼지 저감정책에 노후경유차 제한 예산 증액
▲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지역이 확대되고, 환경부의 경유차 조기폐차를 지원 예산이 늘어난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지역이 확대되고, 경유차 조기폐차를 지원 예산이 늘어난다. 남은 경유차는 가스저감장치를 달거나 LPG차로 개조한다.
 
6일 환경부는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밝히면서 노후 경유차에 대해 이같은 대책을 내놨다.
 
서울시 대상으로 실시해 온 경유차 운행 제한지역은 올 하반기부터 인천‧수원‧고양‧성남 등 17개시로 구역이 확대된다. 지자체의 저공해조치명령에 불응하거나,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해 종합검사에 불합격한 노후경유차가 대상이다.
 
환경부는 노후경유차 제한을 위한 예산을 1597억원을 투입한다. 지난해 1082억원보다 약 50%(515억원) 늘어난 규모다. 노후 경유차와 건설기계 13만 8000대의 저공해화가 일차 사업 대상이다. 2005년 이전 배출허용기준으로 제작된 경유차인 11만6000대는 조기폐차(934억원)시킨다.

또 노후 건설기계 등의 미세먼지 저감(225억, 3000대)장치 부착, 건설기계 엔진 교체(112억원, 1500대) 등에 예산이 각각 투입된다.
 
정부는 이 밖에 500대에 LPG엔진 개조비용 8억7000만원, 1만5000대의 차량에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222억원을 들여 부착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생계와 관련된 노후경유차는 LPG엔진 개조와 DPF부착 비용의 90%를 지원해 준다.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부는 CCTV확충에 56억80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노후경유차 대상은 경유차 매연과 질소산화물 정밀검사 기준은 종전 2배이며, 올해부터 출시되는 50cc~260cc 중소형 이륜차도 검사대상에 포함한다. 만약 노후경유차가 1차 경고에 이어 2차 환경기준 위반시 과태료 20만원이 붙는다.
 
환경부 측은 이번 제도로 운행차 부문 연간 1314톤을 줄일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