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벌써~ 대선비자금?”
“아니, 벌써~ 대선비자금?”
  • 배재우
  • 승인 2006.12.02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운영비 논란 휩싸인 대권주자 예비캠프

17대 대통령 선거를 1년여 앞두고 여야 대선주자들이 사실상 대선경쟁에 나선 가운데, 각 선거본부의 운영자금이 논란거리로 떠올랐다.

현행 정치자금법 6조에 따르면 대통령선거의 경우, 국회의원이나 정당의 대통령선거후보자 선출을 위한 당내경선후보자만이 후원회를 둘 수 있고, 경선 이전에는 정치자금을 기부 받을 수 없다. 지금 대선후보군 가운데 이명박 전 서울시장·고건 전 국무총리·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정동영 열린우리당 전 의장 등을 후원금을 걷을 수 없는 경우다.

이들은 매달 수천만원씩의 운영자금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 출처로는 각자 후원회비나 강연료 등을 들었지만, 그 이상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의문이 인다.

사실상 대선캠프 운영

이 전 시장은 ‘안국포럼’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지난 6월 시장 퇴임 직후부터 서울 종로구 견지동에 65평 사무실을 운영해왔다. 사무실 임대료만 월 700만원. 상근자는 15명 정도로 이중 유급직원만 6명에 월급이 900만원이다. 이 전 시장 쪽은 차량운영비와 식대를 포함해 매달 2천~2천500만원이 쓰인다고 밝혔다. 그밖에 수백명의 교수로 이뤄진 정책자문단도 있다.

이 전 시장 쪽은 이를 모두 사재로 충당한다고 밝혔다. 이 전 시장의 재산은 179억6천만원으로 등록돼 있으며, 건물 임대수입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문제가 없어 보인다. 현행 선거법상 본인이나 친족의 재산은 별다른 제한 없이 쓸 수 있기 때문. 한편 이 전 시장은 지난 11월 24일 “나는 어려움이 없지만 다른 후보들이 걱정”이라며 선거자금법 개정을 촉구했다.

박 전 대표의 선본은 국회 앞 엔빅스 빌딩에 있다. 지난 9월 간판 없이 낸 95평 사무실에 임대료만 월 500만원으로 알려졌다. 상근자는 10여명 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급직원은 2명에 월급은 250만원이 든다고 밝혔다. 기타 운영비를 포함해 1천500만원 정도가 쓰인다.

박 전 대표 쪽이 밝힌 재원은 후원금. 박 전 대표는 국회의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어 후원회를 둘 수 있다. 그러나 국회의원이 조성할 수 있는 후원금 한도는 연간 3억원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최근 “(경선 전에는) 대선후보 후원회를 둘 수 없기 때문에 다른 후원금을 편법으로 대선자금으로 운용하면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밝혀 논란의 여지는 있다.

고 전 총리는 연지동에 있는 20평 규모의 개인 사무실과 별도로 ‘희망연대’ 사무실을 사실상 선본으로 쓰고 있다. 희망연대 사무실(60평)은 서울 종로구 인의빌딩에 있으며 상근자는 5명, 이중 유급직원은 3명이다. 월 운영비는 2천만원 이내이며 재원은 희망연대 회비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시민단체를 표방하는 희망연대의 회원은 1천6백여명 규모이므로 회원들의 월 평균 회비가 1만원 내외라는 셈이다.

손 전 지사는 충정로에 10평 규모의 개인 사무실과 실질적인 선본인 20평 규모의 동아시아미래재단 사무실을 열었다. 상근직원은 모두 6명에 ‘민심버스’ 임대료까지 붙지만 “사무실은 지인이 내줘서 임대료가 싸”기 때문에 월 운영비는 1천만~1천500만원 정도만 든다고 한다.

손 전 지사의 공식적인 재원은 저서 인세와 출판기념회에서 거둔 수입, 강연료로 충당한다지만, 그 정도 수입으로는 다소 모자라 보이는 면이 없지 않다.

김 의장은 여의도 신동해빌딩에 있는 한반도재단을 사실상의 선본으로 볼 수 있다. 상근자가 5명이 있지만 활동비만 지급할 뿐 모두 자원봉사라고 한다. 게다가 재단의 운영경비는 운영위원회가 조달하고, 현 여당 의장으로서 활동비가 당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 전 시장과 함께 자금 출처에 있어서는 비교적 여유로운 편이다.

정 전 의장은 여의도 대하빌딩에 위치한 ‘21세기 나라비전연구소’를 선본으로 활용한다. 10여명의 상근자가 있지만 대부분 자원봉사로 경비는 개인이 조달해, 운영비는 1천만원 안팎이라 밝혔다. 이곳의 재원도 역시 회비라고 한다.

합법적 모금방안 논란

각 선본들이 공식적인 운영비를 월 1천만~2천500만원으로 밝혔지만, 해외방문이나 지방순회에 들어가는 비용까지 따지면 한 달에 1억원 가량을 넘나들 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일부 참모들은 무보수로 일하며 친인척들에 돈을 융통하고, 이 과정에서 불법이 조장될 수 있다.

이 때문인지 선관위는 지난 26일 “예비 후보들이 합법적인 자금을 모금할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노회찬 의원은 “(경선 이전부터) 유사선거조직을 만들어 막대한 비용을 쓰는 것이야말로 불법 사전선거운동”이라 맞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