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털'로 남는 JP
'범털'로 남는 JP
  • 김상미
  • 승인 2004.05.01 17: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으로부터 채권 15억 제공받아
김종필(JP) 전 자민련 총재의 검찰소환 방침이 확실시되면서 정치권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김 전 총재는 4.15 총선에서 10선고지 진입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40년 정치 인생을 마감과 함께 3김정치의 마지막 인물로 정가를 떠나게 됐다. 이에따라 김 전 총재 자신 스스로 지난달 19일 총재직을 사퇴했고 이로써 마지막 3김인 김 전 총재가 정계은퇴를 함으로써 3김 시대도 막을 내리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정계를 은퇴하자마자 김 전 총재는 '재작년 6.13지방선거때 삼성그룹으로부터 채권 15억원을 제공받았다'는 혐의로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다. 이로인해 김 전 총재가 40년 정치 인생 마감을 '범털'로 남게 되는 게 아니겠냐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관측이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 문효남 수사기획관은 30일 "삼성채권 추적과정에서 10억원대 `삼성채권'이 김 전총재측에 흘러들어간 단서가 나왔다"며 "내주 중 김 전 총재를 소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송광수 검찰총장은 출근길에 `김 전 총재의 혐의 입증시 신병처리를 할 방침인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신중히 검토하겠다"며 "아직 어떤 결론이 난 바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김 전 총재에 대해 이미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으며 일단 내달 6일 소환 조사에 응하도록 통보했으나 김 전총재측과 일정을 최종 확정하기 위한 조율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총재를 상대로 삼성측으로부터 15억원 상당의 채권을 수수했는지 여부와 경위, 사용처 등에 대해 조사키로 했다. 이같이 김 전 총재가 검찰의 수사망에 오른 것은 앞서 토공사장 재직시절 현대비자금 6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2심 재판 중인 김용채(71) 전 건설교통부장관이 지난 26일 재판부에 "현대건설 임모 부사장에게서 받은 6억원은 즉시 김 전 총재에게 보냈다"는 취지의 탄원서를 제출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8일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제출한 탄원서에서 토지공사 사장 시절 전직총리 L씨의 제안으로 당시 장관을 지낸 H씨와 J씨, 본인 등 4명이 10억원씩 조성해 당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전장관은 "당시 현대 정몽헌 회장에게 부탁하니 4억원을 직접 당으로 보냈고 6억원은 생색을 내려고 현대건설 임모 부사장을 통해 보내왔기에 즉시 김종필 총재에게 보냈다"고 주장했다. 김 전장관은 "이 일은 저 혼자 한 것도 아니고 총리를 포함한 4명이 공동으로 당을 위해 정치자금을 모아 전달한 것"이라며 "제가 대가성 있는 뇌물을 받은 것이 아니므로 특가법상 뇌물죄가 아닌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다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 전장관은 1심에서 "현대에서 영수증 처리하지 않은 6억원을 모두 당에 전달했지만 누구에게 줬는지는 공개법정에서 밝힐 수 없다"고 말해왔으며 자민련측은 "본인 책임을 면하려고 정치자금으로 몰고 가는 것"이라고 반박해 왔다. 한편 같은날 김 전 장관은 항소심 결심공판에서 "나이 70이 넘어 40년 공직 생활을 걸고 말씀드리지만 6억원은 모두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서울고법 형사1부(이주흥 부장판사) 심리의 결심공판에서 울음 섞인 목소리로 "40년 동안이나 받들고 모시던 총재님을 총선 직전이라 의리상 밝힐 수 없었다"며 "사실은 사실대로 밝히고 용서를 구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장관이 말한 L씨는 이한동 전 총리, H씨는 한갑수 농수산부 장관, J씨는 정우택 해양수산부 장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자민련은 김 전 총재에 대한 검찰 소환 방침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17대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스스로 총재직과 정계를 떠난 김 총재 자신에 대한 불명예 우려와 함께 내달 10일 전당대회를 통한 새 출발을 다짐하는 자민련에게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했다. 김 전 총재는 검찰 소환에 응할 지 여부 등 아직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측근들은 "설령 사실이라 하더라도 김 전 총재 개인 차원이 아니라 당 차원의 선거자금 명목으로 전달되지 않았겠느냐"며 김 총재와의 관련성을 최대한 차단하려 애썼다. 김학원 원내총무는 "세상이 복잡해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며 "며칠 전 김 전 총재를 잠깐 뵌 적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 아무런 말씀이 없었다"고 말했다. 유운영 전 대변인은 "김 전 총재가 개인적으로 돈을 받아 챙길 사람은 아니다"면서 "검찰에서 정식 통보가 오면 대응방안을 상의해보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김용채 전 건교부 장관이 2000년 한국토지공사 사장 시절 현대건설로부터 받은 6억원을 전달받았는지 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나 사실로 확인되더라도 정치자금법의 공소시효(3년)가 지나 현대돈에 대한 사법처리는 어려울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