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원내정당화 주장도 내용상 내각제 주장과 연결돼 있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당선자가 지난 29일 내각제 개헌론에 다시 불을 부쳐 그 속내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날 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장이자 대통령 정치특보인 열린우리당 문희상 당선자는 "한나라당은 (전체 의원의) 절반 이상이 내각제 선호이고, 우리당에도 상당히 있다"고 말했다.
문 당선자는 타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지금 (여야) 지도부는 대통령 꿈을 갖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서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 (4년 대통령 중임제) 중심의 논의가 편향적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히고 "원내정당화 주장도 내용상 내각제 주장과 연결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권력구조 개편 논의에는 중임제만 있는 게 아니다"면서 "오히려 중임제보다 내각제 등에 대해서도 더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모든 것을 같이 놓고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내각제 논의는 국민 정서상 이미 지나간 사안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2년 후 지자체 선거가 끝나면 정치지형이 달라져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 당선자는 권력구조개편 논의의 시기와 관련, "지금 하면 국력소모만 될 뿐이며, 여야가 합의한다고 해도 개헌할 게 아니므로 실익이 없다"며 "2007년 대선과 총선 일정이 20년만에 겹친다는 점에서 2006년이 제일 적기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 당선자의 발언은 최근 정치권에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론이 정가의 화두로 등장한 이후라 더욱 주목되고 있다.
특히 문 당선자는 "지금 (여야) 지도부는 대통령 꿈을 갖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서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4년 중임제) 중심의 논의가 편향적일 수 있다"며 "원내정당화도 내용상 내각제 주장과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는 중임제론자인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나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를 겨냥한 것이라는 것이 정가의 해석이다.
이같은 문 당선자의 내각제 언급은 차기 대권구도의 조기 가시화와 맞물려 있는 4년중임 대통령제 개헌론을 차단하기 위한 포석이 아니겠냐는 관측을 낳게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