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향후 5년 간 '포용의 인권도시'로 거듭난다
서울시, 향후 5년 간 '포용의 인권도시'로 거듭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이를 존중하며 협력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 복지 시혜가 아닌 인권의 권리로 전환
서울시가 향후 5년 간 인권시로 거듭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향후 5년 간 인권시로 거듭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 ⓒ서울시 제공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서울시가 향후 5년 간 인권시로 거듭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14일 서울시는 인권정책의 청사진을 담은 ‘제2차 인권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의 핵심키워드는 ‘포용’으로 시는 1차 기본계획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포용의 인권공동체’를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시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거나 사회적 편견이 심한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실태파악, 상담, 피해자 지원, 자립 역량 강화 및 인식 개선 캠페인 등을 진행한다.

특히 청소년 아르바이트는 엄연한 노동임에도 불구하고 법제도적으로나 노동환경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놓여 있어 서울시는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실태를 꾸준히 파악하고, 노동권리 교육 및 상담 등을 통해 아르바이트 청소년 인권 보호 및 노동존중 사회 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다.

더불어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데이트 폭력 피해자나 피해 정도가 심각한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들을 지원하고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여성안심서비스를 실시하고 어린이, 장애인, 어르신 등 교통약자나 짐을 든 시민 및 여행객 등 누구나 장애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단순한 보행환경 개선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교통 약자에 대한 배려,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제도화, 무장애 관광 도시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사회 내 고착된 성차별과 혐오의식 심화 등으로 근본적인 인식개선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성평등 인식 문화 확산•교육 및 시민 직접 참여 활동을 통해 인식 개선을 도모키로도 했다.

또 실효성 있는 인권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시민, 인권단체 활동가,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인권행정에 대한 폭넓은 시민공감대를 형성하고, 적극적으로 시민의 인권 보호를 증진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같은 날 한 관계자는 “제2차 인권정책 기본계획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의 분열과 갈등이 해소되고 서울이 모두가 함께 누리고 참여하는 인권 공동체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