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수 제품인 유·아동용 선글라스서 도수 측정되는 등…“품질관리 미흡”
무도수 제품인 유·아동용 선글라스서 도수 측정되는 등…“품질관리 미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도수 제품에서 도수 측정돼
투과율 높은 제품도 발견돼
사진 / 한국소비자원
사진 / 한국소비자연맹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기본적으로 무도수 제품임인 유·아동용 선글라스에서 도수가 측정되고 가시광선 투과율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22일 한국소비자연맹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17종의 선글라스(유아용 5종, 아동용 12종)를 대상으로 가시광선 투가율, 자외선 차단율, 내구성, 표시 사항 등에 대해 시험·평가를 실시했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 가시광선 투과율의 필터범주는 0~4까지이며 숫자가 높을수록 선글라스 색깔이 진하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아 필터범주별로 선글라스의 사용용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투과율 범주 4의 경우 매우 짙은 특수 선글라스로 바나나 설원 등과 같이 눈부심이 큰 장소에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동이 일반환경에서 착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유아용 선글라스의 경우 5종 모두 일반 선글라스에 속하는 필터 범주 3에 해당했으며 아동용 제품의 경우 12개 제품 중 필터범주 4인 제품이 1종, 필터범주 3인 제품이 8종, 필터범주 2인 제품이 2종이었다.

또한 유·아동용 선글라스는 기본적으로 무도수 제품이지만 아동용 선글라스 1개 제품에서 도수가 측정되어 어린이들의 시력보호를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해당 업체는 플리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의 렌즈가 유통 및 진열과정에서 고온에 노출되어 변형 및 굴절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회신했다.

아울러 산업부 고시(개별안전기준이 있는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 어린이제품의 안전기준)에 따른 표시사항과 관련하여서는 17종 중 3개 제품이 전혀 표시사항이 없었고 3개 제품은 제조연월, 경고 및 주의사항 등 일부 표시사항이 표시되지 않았다.

이어 필수 표시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에게 정보를 줄 수 있는 사용 연령, 품질보증에 대한 사항과 관련하여서는 조사대상 17개 제품 중 11개 제품이 사용연령 표시가 없었고 품질보증의 경우 9개 제품이 표시가 없었다.

한편 소비자연맹은  ·아동 선글라스 보관 시 햇빛이 강한 장소나 뜨거운 열이 있는 곳에서는 무도수 렌즈라도 도수가 발생하는 등 렌즈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