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갑질, 억울함, 부당함 등을 듣고 싶어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할리우드 거물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틴 성범죄 파문으로 시작된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은 서지현 검사가 성추행 폭로를 하며 우리나라에 빠르게 확산됐다.
이에 정치계·문화계·대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도 성추행 피해자’라고 외치며 관련 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하지만 ‘미투(#Me Too·나도 피해자다) 운동’을 바라보면서 성추행·성폭행 등에 국한되어 있는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이다.
실제 취재를 하다 보면 불이익을 당할까 봐 말을 못 하는 취재원들이 허다하다. 상사로부터 또한 본사로부터 분명 갑질을 당하고 있고, 불이익을 당하고 있지만 정부에 신고하거나 언론사에 제보 하면 피해를 입을까봐 끙끙 앓고 있는 약자들.
어느 날 ‘감사합니다. 기자님이 계셔서 힘이 납니다’라는 문자를 한 취재원으로부터 받았다. 해당 취재원은 본사의 갑질을 못 버텨 제보했고 이에 본지는 취재에 들어갔다. 그러나 동료 직원들은 불이익을 당할까 봐 ‘쉬쉬’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중 용기 있는 다른 한 직원이 자료 및 녹취록 등을 보내줘 어렵게 기사 작성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물론 한 꼭지의 기사를 작성한다고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한 사람의 인생은 더 좋은 쪽으로 바뀔 수 있지 않은가.
언론은 어렵고 먼 곳에 있지 않으며 언제나 억울함, 갑질 행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어 있다.
이에 미투 운동을 바라보며 성추행 등에 국한된 것이 아닌 ‘부당함’, ‘갑질’ 등도 여러 업계에서 터져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공무원들 산하기관에 하는거 보면 장난 아닌데
보고서 이런거 한자 안쓰고 조사까지 수정해달라는 사람 등. 집으로 출장갈때 데리러 오라는 등
엄청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