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포커스 / 유용준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개헌과 관련해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의 근간이 국회에서 헌법적 뒷받침으로 이뤄진다면 저희들이 기존의 한국당 입장에 절대 경도되지 않을 것”이라며 조건부 타협 가능성을 내비쳤다.](/news/photo/201803/182928_213895_2722.jpg)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7일 개헌과 관련해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의 근간이 국회에서 헌법적 뒷받침으로 이뤄진다면 저희들이 기존의 한국당 입장에 절대 경도되지 않을 것”이라며 조건부 타협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YTN라디오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개헌의 핵심은 제왕적 대통령 권력을 좀 분산시켜보자는 것이고 그 대안이 한국당은 책임총리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책임총리 하자는 것은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이 늘 입에 달고 계시던 것”이라며 “마치 내각제 요소가 (개헌안에) 가미되면 이게 악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는 부분은 대단히 잘못됐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그렇다고 저희 한국당이 지금 의원내각제를 하자고 하는 이야기도 결코 아니다”라며 “제왕적 권력은 한마디로 국민들 편을 가르고 국가의 갈등을 더 심화시키는 권력으로서 이제는 이 권력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인 대한민국의 새 시대랑 안 맞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전날 발의된 대통령 개헌안에 대해서도 “개헌안을 발의하는 태도나 절차, 그리고 내용 모두가 문제”라며 “개헌을 하지 말자면 차라리 안 하면 되는 것인데 이렇게 국민을 호도하는 식의 개헌안을 내가지고 이렇게 개헌 쇼를 벌이는 것은 이건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김 원내대표는 “지금 중요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은 국회에서 손을 댈 수가 없다. 국회에서 수정할 수 없는 내용”이라며 “집권당 민주당에 대통령이 발의한 이 개헌안이 가이드라인이 돼버리기 때문에 국회에서는 협상이 안 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정부여당 측 개헌 추진에 맞선 장외투쟁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재 문재인 대통령의 사실상 제왕적 대통령 권력을 연장시키고자 하는 관제 개헌안을 절대 수용할 수 없는 국민적 여론 속에서 함께할 수 있는 그런 길이 한마디로 언론에서는 장외투쟁으로 비춰질 수 있지만, 그런 부분이 다각적으로 검토되어지고 있다”고 일단 열어두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최근 불거진 경찰에 대한 당내 일각의 막말 논란에 대해선 “우리 한국당 대변인 발언이 좀 강했던 건 사실”이라면서도 “울산 경찰청에 선거를 앞두고 정치공작적인 정치경찰의 일면을 가지고 특정인에게 이야기한 부분이 마치 경찰 전체에게 모욕감을 준 내용처럼 본말 전도됐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