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0] 금호타이어, 파산? 회생?…산업은행 VS 노조 파국의 길로
[D-0] 금호타이어, 파산? 회생?…산업은행 VS 노조 파국의 길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매각 놓고 산업은행-노조 수개월째 힘겨루기
금호석유화학 인수전 참여 검토 해외매각 중단 때 가능
산업은행은 해외매각을 철회할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있고, 노조 역시 해외매각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금호타이어 파산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사진 / 시사포커스 DB]
산업은행은 해외매각을 철회할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있고, 노조 역시 해외매각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금호타이어 파산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금호타이어는 정말 파산하는 것일까. 채권단과 노조 집행부가 데드라인인 30일에도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어 극적 타결이 쉽지 않다. 금호석유화학이 인수전 참여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채권단이 매각을 진행하고 있어 매각이 결렬될 이후에나 참여 가능성이 높다. 변수 등장에도 채권단은 해외매각을 철회할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있고, 노조 역시 해외매각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금호타이어 파산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30일 이동걸 산업은행장에 이어 최종구 금융위원장, 박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나서 금호타이어 해외매각 불가피성을 언급하며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반면 노조는 30일 총파업으로 정부를 상대로 선전포고에 나섰다. 노조의 선택에 따라 금호타이어가 ‘회생하냐’ ‘청산이냐’ 기로에 선 시점으로 김종호 금호타이어 회장은 노조 집행부와 마지막 협상을 벌이고 있다.

채권단인 산업은행 등 정부 방침은 이렇다. 부실의 주요 원인인 금호타이어 중국공장의 정상화가 시급하기 때문에 대규모 신규투자를 통해 부실한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 그래서 중국타이어 업체인 더블스타로의 매각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즉, 투자 유치를 통한 신규자금이 공급돼야 금호타이어 회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적극 강조하고 있다.

김동연 부총리는 30일 “노사 간 합의가 없으면 대규모 투자유치가 물거품이 되고 당장 유동성 문제로 인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며 “채권단도 투자유치가 성사되면, 2,0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고 만기연장과 금리인하 등을 통해 금호타이어의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인수 의사를 밝힌 국내 기업이 더블스타를 전제로 한 채권단의 매각 방침으로 인수를 철회했다며 해외 매각 중단과 국내 인수업체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총파업에서 금호타이어 인수의향이 있는 국내업체에 관해 모든 것을 밝히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노조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 의향이 있는 국내기업이 있는데도 산업은행이 법정관리를 하겠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며 “해외매각을 즉각 중단하고 국내 인수 희망 업체를 참여시킬 경우 노조도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에 적극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변수는 금호석유화학이 인수전 참여 여부다. 그런데 인수전 참여하기 위해선 채권단이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중단하고 매각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상황이 될 때나 가능하다. 이 때문에 채권단이 매각을 철회하고 원점에서 시작해야 하지만 시간이 없다는 게 걸림돌이다. 다음달 2일 어음 270억원, 5일 회사채 400억원을 비롯해 이후 만기가 돌아오는 비협약채권을 상환하지 못하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 채권단 내부에선 기다려 줄 만큼 기다려 줬다며 더 이상의 연장은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일각에선 추가 연장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지만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데드라인을 30일로 못 박아 희박하다.

금호타이어를 인수하려는 국내기업이 등장한 상황에서 채권단과 노조가 어떤 묘수를 찾을지 아니면 결국 파산의 길로 갈지 금호타이어 ‘운명의 날’이 몇 시간 남지 않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