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투표 거치지 않고 대타협 이뤄질 가능성 있어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금호타이어 노조가 전 조합원에게 해외매각에 대한 찬성ㆍ반대를 묻는 투표를 하기로 급선회하면서 법정관리 기로에 섰던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의 한 고비를 넘겼다. 아직 찬반 투표 결과 여부가 남아 있어 낙관하기는 이르지만 노조가 해외매각 찬반 투표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경영정상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노조가 이처럼 해외매각 찬반 투표 결정을 내린 것에는 청와대가 금호타이어 개입은 없다는 발언이 나온 이후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5월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금호타이어 문제를 정치 논리로 풀지 않겠다는 확고한 청와대의 의지가 드러나면서 노조가 더 이상 해외매각 반대 주장을 펼 수 없게 됐다는 점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금호타이어 자본유치와 관련해 금호타이어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가는데 '설마 금호타이어를 매각하겠느냐',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매각까지야 하겠느냐' 이런 분위기가 있다고 한다"며 "하지만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정부는 절대로 정치적 논리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것"이라며 금호타이어 문제를 경제논리로 접근할 것임을 강조했다.
또 법정관리로 들어가게 되면 최악의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국내 임직원 5040명, 190여 협력업체 직원 1만 명 등 1만5000여 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게 된다. 금호타이어 사측은 법정관리에 따른 구조조정(정리해고) 규모를 약 40%로 추산해 광주공장과 곡성공장 전체 직원(4천여명)의 1천600명가량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추산했었다. 여론도 노조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과 무엇보다 노조가 밝혔던 국내 인수 업체가 결국 나타나지 않았던 것이 결정적 이유로 꼽힌다.
현재 조삼수 금호타이어 생산직노조 대표지회장과 김종호 금호타이어 회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차관, 윤장현 광주시장 등이 긴급 간담회를 갖고 있다. 노조가 해외매각을 수용한 상황이어서 고용유지와 경영권 보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와 함께 찬반투표를 거치지 않고도 대타협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