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노동계와 경영계 그리고 정부가 한 자리에 모였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주영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김명환 위원장, 한국경영자총협회 손경식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박용만 회장, 고용노동부 김영주 장관, 그리고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문성현 위원장 등이 모여 제2차 노사정 대표자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노사정 대표자 회의에서는 사회적 대화기구의 조속한 정상화와 제1차 대표자회의에서 제기된 의제들에 대해 논의했다.
우선 사회적 대화기구의 개편과 관련해 사회적 대화기구의 명칭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사회적 대화기구는 노사 중심성을 기반으로 하자는데 어느 정도 근접했다.
또 청년, 여성, 비정규직 및 중견기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으로 참여주체를 확대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세부적으로는 ‘미조직 취약계층 관련 위원회’를 사회적 대화기구 내에 구성해 청년, 여성, 비정규직 등 새로운 참여주체들이 스스로 의제를 개발하고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더불어 노동계는 해운, 버스운송, 금융, 공공(이상 한국노총), 자동차, 조선, 민간 서비스, 보건의료, 건설, 공공(이상 민주노총) 등의 업종에 대해 업종별 위원회를 제안했다.
위원회의 구성 운영 등에 관해서는 실무 논의를 거쳐 차기 대표자회의에서 결정할 계획이며 이 외에 ‘양극화 해소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연구회’를 구성해 노동시장의 양극화 해소와 중소기업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일단 이번 회의에서 의견 접근이 이루어진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등에 대해서는 실무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으며 오는 4월 중 제3차 노사정 대표자회의를 한국노총에서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