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황영철 자유한국당 의원이 6일 바른미래당과의 지방선거 연대 가능성과 관련해 “연대의 의미가 국민들에게 좋게 전달될 것이냐, 이 부분에 있어서도 별로 박수를 받지 못할 것”이라며 회의적 시각을 드러냈다.
황 의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시점으로 봤을 때는 현실적으로 선거연대 어렵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대 논의가 당내에서조차 의견이 모아지지 않은 상태”라며 “무리하게 이뤄질 수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황 의원은 청와대가 국민투표법 처리를 촉구한 데 대해선 “국민투표법은 국회 소위에서 얼마든지 처리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럴 생각이었는데 오히려 이 문제를 청와대가 키웠다”며 “청와대에서 지금 국회에서의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한 바탕을 둔 여러 행위라 보기보다는 대통령 개헌안이 어차피 처리가 안 될 것이니까 처리 안 되는 것에 대한 책임을 국회 특히 야당에게 책임을 씌우려는 듯한 그런 형태라 볼 수밖에 없다”고 입장을 내놨다.
그는 이어 “1년 동안 좋은 헌법개정안을 만들기 위해 국민적 의견도 듣고 여야 의원들이 많은 공부를 해왔다. 올해는 국회가 합의점을 찾아가는 시점”이라며 “오히려 대통령의 개헌안을 철회하고 국회를 믿겠다, 국회에서 꼭 이뤄달라 이런 주문을 해주는 것이 개헌안 발의가 더 빨리 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아울러 황 의원은 자당에서 마련한 개헌안 내용과 관련해선 “대통령에게 독점된 많은 권력들을 나누어 제왕적 대통령이 더 이상 나오지 말아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에 의한 헌법개정이 핵심”이라며 “현재 대통령제를 유지하면서 현실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해서 그러한 책임총리제안을 내놓은 것이어서 초점을 과연 분권 대통령제를 하겠다는 것이냐, 안 하겠다는 것이냐 이에 맞춰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