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중위소득자의 연평균 소득액은 2,424만 원으로 고소득자와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
8일 국회 기재위 소속 박광온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2016년 귀속년도 근로소득 백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근로소득자 1,774만 98명의 연평균소득은 3,359만 원으로 월 280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소득신고자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말하는 중위소득자의 소득은 연평균 2,424만 원으로 월 202만 원 수준이었다.
반면 상위 1%에 속하는 17만 7천 4백명의 연평균 소득은 2억 4천 3백만 원으로 월소득 은 2,031만 원인 것으로 나타나 중위소득자와 격차는 10배를 넘어섰다. 상위 10%인 177만 4천 9명은 연평균 1억 797만원으로 월소득 899만원이었다.
상위 1% 구간의 총 근로소득은 43조 2,487억 원으로 전체 근로소득자 총급여의 595조 9,935억원의 7.3%를 차지했다. 상위 10%는 총급여 191조 5천 543억 원으로 전체의 32.1%를, 상위 20%인 354만 4천 19명은 299조 453억 원으로 전체의 절반(50.2%)에 달했다.
상·하위 구간별 임금격차도 심각해 상위 1%(17만 7,400명)가 받은 총임금(43조 2,487억원)이 하위 30%인 549만 9,431명이 받은 총임금(43조 3,770억 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임금격차가 양극화와 불평등의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일자리 확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대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 해소, 최저임금 인상, 사회안전망 확대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