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국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여성청결제 등은 모두 화장품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식약처는 한국YWCA연합회와 함께 국내 시중에서 유통 중인 여성청결제 89개 제품(62개사)을 수거해 보존제 함량 등을 검사한 결과 모두 안전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대상은 2016년 생산실적이 1억 이상이거나 수입실적이 1억 이상인 제품, 제품을 사용한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들을 선정했으며 생산 및 수입 실적이 70%에 달하는 만큼 시중에 많이 팔리는 제품들이다.
시험·검사 항목은 소르빈산 등 보존제 20종, 제품 특성으로 혼합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디옥산, 프탈레이트 3종이며, 해당 성분들이 제품에서 불검출됐거나 검출되더라도 허용 한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옥산은 화장품 원료인 폴리에틸렌 계열, 계면활성제 등의 제조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고농도에서 간과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디에칠헥실프탈레이트이며, 플라스틱에 유연성을 더해주는 가소제로서 용기로부터 유래, 내분비장애물질로 알려졌다.
반면 화장품 안전 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제품 포장에 표시되지 않는 보존제가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전성분 표시 위반으로 행정처분의 조치를 취했다.
한편 식약처는 “여성 소비자가 안심하고 화장품 등 의료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중에 유통 중인 제품에 대한 수거·검사, 허위 과대광고·표시 점검 등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