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맞춤형 ‘모듈·팩’ 솔루션으로 시장 공략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맞춤형 ‘모듈·팩’ 솔루션으로 시장 공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모듈-팩 기술 경쟁 시대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 플랫폼인 ‘확장형 모듈'과 팩 솔루션인 'MFM팩'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앞선 셀 기술을 바탕으로 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모듈과 팩 라인업을 갖춘 것이다.    ⓒ삼성SDI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 플랫폼인 ‘확장형 모듈'과 팩 솔루션인 'MFM팩'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앞선 셀 기술을 바탕으로 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모듈과 팩 라인업을 갖춘 것이다. ⓒ삼성SDI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전기차 대중화에 발맞춰 전기차 배터리를 개발하는 업체들도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고 에너지 밀도 배터리 셀에서 최근에는 ‘모듈-팩’ 기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셀 개발 방향이 에너지 밀도를 더욱 높이면서 안정성도 확보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면 최근에는 효율적인 모듈과 팩 개발 설계와 구성에 초점이 맞춰지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 플랫폼인 ‘확장형 모듈'과 팩 솔루션인 'MFM팩'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앞선 셀 기술을 바탕으로 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모듈과 팩 라인업을 갖춘 것이다.

배터리 셀이 전기에너지를 충전, 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 단위라면 배터리 팩은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종형태로 배터리 모듈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시스템 등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장착해 완성된다. 예를 들면 BMW i3에는 배터리 셀이 총 96개 탑재되는데 셀 12개를 하나의 모듈로 묶고, 8개의 모듈을 묶어 하나의 팩 형태로 들어가게 된다.

삼성SDI의 ‘확장형 모듈’은 모듈 1개당 24개 이상의 셀을 넣을 수 있도록 첨단 기구설계 공법을 적용했고, 에너지용량은 6~8kWh로 기존 대비 2배가 넘는다. 기존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한 개엔 통상 12개 내외의 셀이 들어가고 용량이 2~3kWh 수준에 머물렀다.

삼성SDI 관계자는 “모듈 하나에 더 많은 셀을 담을 수 있도록 개선하면서, 하나의 팩에 들어가는 모듈 수가 줄어 여러 연결 부품을 줄이고 공간을 아낄 수 있게 됐다”며 “자동차에 장착할 경우, 기존 모듈에 비해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고 무게와 부피도 줄일 수 있어 자동차 제조사들이 원하는 구상이다”고 말했다. 그 동안은 전기차 업계의 수요가 고성능 셀 위주였다면, 이제 모듈로서의 성능을 따지는 단계로 나아간 것이란 분석이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이 얼마나 슬림하느냐에 따라 전기차의 디자인이 바뀌기 때문에 모듈과 팩 디자인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삼성SDI는 팩에 모듈 없이 셀을 바로 탑재할 수 있는 형태 등 모듈과 팩의 설계와 디자인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첨단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 셀, 모듈, 팩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시키는 이른바 ‘배터리 디자인’ 시대를 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