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사장님, 2명 중 1명 ‘부족한 일손’ 직접 소화
알바 사장님, 2명 중 1명 ‘부족한 일손’ 직접 소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손 부족한 채 운영하는 이유 1위 ‘원하는 수준의 알바생 뽑기 어려워’
사진 / 알바몬
사진 / 알바몬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알바 사장님의 46.8%가 직접 필요한 업무를 소화하는 방식으로 부족한 일손을 메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가족과 지인을 동원한다는 응답도 31%로 적지 않았다.

1일 알바몬은 사업체를 운영 중인 아르바이트 사장님 575명을 대상으로 알바생 고용현황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알바몬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장님들의 알바생 고용현황을 살펴 보면 1~4명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65.9%로 가장 많았다. 5~9명 고용이 16.7%, 10명 이상 고용이 11.0%로 뒤를 이었다. 또 설문에 참여한 사장님 6.4%한 명도 고용하지 않고 직접 운영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알바생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고 직접 운영한다는 응답은 PC/편의점/노래방에서 13.9%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노무 업종에서도 12.8%로 나타났다.

이 같은 고용 규모가 사업을 운영하기에 적정하냐는 알바몬의 질문에 51.7%의 사장님이 딱 좋다고 밝힌 가운데, ‘부족하다는 응답도 36.3%로 적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딱 적당한 수준의 인력규모를 유지하고 있다는 응답이 51.7%로 가장 높았으며, ‘필요한 인력보다 여유롭게 고용하여 운영 중이라는 응답도 12.0%로 나타났다. 반면 일손이 조금 부족한 편이라는 응답은 27.1%, ‘일손이 매우 부족하다는 응답은 9.2%였다.

일손 부족을 호소하는 응답을 업종별로 살펴 보면 유통/서비스 51.4%, 사무 41.3%, PC/편의점/노래방 3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서도 매우 부족하다는 응답은 PC/편의점/노래방에서 22.8%로 가장 높았다.

이처럼 적지 않은 사장님이 일손이 부족한 채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이유는 구인난경기 악화탓이었다. 알바몬이 사장님들에게 필요한 일손만큼 알바생들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를 물은 결과 원하는 수준의 알바생을 뽑기가 쉽지 않아서41.6%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 악화로 매상, 매출이 전같이 않거나 만족스럽지 않아서(39.2%)’, ‘알바생을 뽑아도 퇴사와 이직이 잦아서(36.4%)’가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최저임금 인상폭이 너무 커서, 그 충격 때문에를 꼽는 응답률은 31.6%4위에 그쳤다. 이밖에 임대료, 원재료값 등 줄일 수 없는 비용부담이 커서(13.9%)’, ‘최저임금과 관계 없이 그 전부터 임금부담이 커서(13.4%)’, ‘직원/인원 관리가 너무 힘들고 부담스러워서(12.0%)’, ‘내가 좀 더 고생하면 되니까(7.7%)’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업종별 사유를 살펴 보면 PC/편의점/노래방은 경기악화5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잦은 퇴사와 이직(26.7%)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서비스는 경기악화(45.9%)’구인난(43.2%)’을 나란히 1, 2위로 꼽았고, 식음매장은 구인난(53.0%)’잦은 퇴사/이직(44.6%)’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사무업종은 구인난(50.0%)’인원관리 부담(38.0%)’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사장님들은 부족한 일손을 그때그때 단기 알바생을 고용(47.5%)하고 있었다. 특히 조사에 참여한 사장님의 46.8%내가 직접 알바생처럼 필요한 업무를 소화한다고 답하기도 해서 눈길을 끌었다. ‘가족과 지인을 동원한다는 응답도 31.0%로 적지 앟았다. 14.3%의 사장님은 잘 메워지지 않아 고전 중이다라고 답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12.7%의 사장님은 근무 중인 알바생의 급여를 높여 업무 효율을 높였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밖에 응답으로는 야근, 근무시간 연장 등 투입시간 확대(8.2%)’, ‘업무물량, 사업 축소(4.5%)’, ‘배달대행 등 아웃소싱 업체 사용(3.8%)’, ‘셀프 계산대, 셀프 서비스 도입(3.7%)’ 등이 이어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