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오면 온 세상은 축제의 장이 된다

기차여행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정동진을 기본으로 대관령과 태백산 등 동해의 아름다운 설원을 품에 안으며 달리는 ‘눈꽃열차’는 각 지역의 아름다운 눈꽃축제를 두루 돌아보며 겨울의 정취를 느끼기에 더 이상 말이 필요없다.
정동진의 낭만과 설화의 조화

이런 정동진의 낭만과 함께 출발해 대관령의 눈꽃축제로 이어지는 길목은 겨울의 기온을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
강원도 평팡은 매년 겨울에 3m이상의 많은 눈이 내려 마을이 고립되기 일쑤였다.
그렇기 때문에 마을 주민들은 문밖 출입을 하자면 꼭 설피를 신어야 했고, 생존을 위하여 사냥을 하였으며, 마땅한 운반수단이 없어 발구를 주로 이용하여 생필품과 땔감을 실어 나르곤 했다.
또한 대관령 지역은 고도가 높고 기온차가 심하여 전국 최대의 황태덕장이 형성된 지역으로 눈 덮인 덕장은 자연과 어울어져 세월이 녹아있는 듯 오묘한 풍경을 자아낸다.
그 황태로 만들어진 황태구이와 황태 북어국은 대관령에서만 맛 볼 수 있는 독특한 먹거리이기도 하다.
그리고 국내 최고의 겨울 등반코스인 대관령의 발왕산은 보는 것만으로도 아름다운 설화의 향기에 흠뻑 취해서 겨울 트래킹을 즐길 수도 있다.
이러한 겨울환경을 바탕으로 평창군 스키 동호회에서 최초로 시작하여 자생적으로 발전한 대관령 눈꽃축제는 지금도 설피걷기 대회, 인발구/소발구 체험, 겨울등반대회, 황병산 사냥놀이 등 많은 부분이 축제에 녹아 있으며 이 토대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하기 위한 도약을 하고 있다.
‘눈으로 뒤덮힌 하얀세상!’ 이라는 슬로건 아래 ‘눈, 사람, 그리고 환희’의 눈꽃축제가 열리고 있는 ‘태백산 눈꽃 축제’ 역시 정동진 여행을 하며 꼭 들러야 할 천상의 세계.
태백산 눈꽃 즐기기는 석탄 박물관 관람과 시베리안 허스키 개썰매타기 체험, 추억의 겨울놀이'얼음썰매', 태백산 눈꽃 트레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겨울 나기의 진수를 보여준다.
특히 민족의 영사이라 일컫는 태백산의 주봉인 높이 1,567m의 장군봉과 높이 1,517m의 문수봉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높으되 가파르거나 함하지 않아 등산이 수월하며 남성다운 웅장함과 후덧함을 지닌 토산산이.
산정상에는 고산식물이 자생하고 봄이면 산철쭉, 진달래가 만개햐고 여름에는 울창한 수목에 차고 흰 눈으로 뒤덮힌 주목군락의 설경을 보여주는 곳이다.
또한 태백산 도립공원 주변에는 한가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낙동강 발우너지인 호아지연목이 있으며, 태백산 석탄박물관과 구문소 자연학습장으로 연계되는 코스는 화석, 지질구조, 삭탄산업의 발달사 등은 학생들에게도 유익한 현장 학습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석이조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한편 ‘눈꽃 축제’를 느끼기에 한라산만한 곳이 또 있을까?
한라산은 삼신산의 하나로 옛날부터 우리나라 명산으로 알려져 왔고 제주도 중앙에서 그 줄기는 동서로 뻗어 있으며 남쪽은 급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는 다소 높으면서 평탄하고 광활하다.
겨울 한라산의 아름다움은 뭐니뭐니 해도 눈꽃이 최고.
고사목 가지에 피어난 눈꽃들의 매혹적인 자태를 감상하며 드넓은 설원을 걷는 장쾌함은 한라산에서만 맛볼수 있는 묘미이다.
눈꽃축제에서는 전야제때 불꽃놀이를 비롯하여 설산댄스, 눈얼음조각경연, 한라패션쇼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은하수를 끌어당길 수 있을만큼(雲漢可拏引也) 높은 산"이라 해서 붙여진 한라산(漢拏山). 그 모습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 한 절 놓치지 않고 늘 아름답고 신비스럽기 그지없다. 한라산은 겉보기엔 여성적이지만 산 속으로 들어가 보면 험준하고 가파른 지형이 남성적임을 알 수 있다.
눈꽃(雪花)은 보통 세 가지로 나뉜다. 꽃이 핀 것 처럼 하얀 눈이 나뭇가지에 얹힌 모양으로 바닷속 산호를 연상케 하는 설화, 싸늘한 서리가 눈 쌓인 나뭇가지 위에 늘어 붙어 생기는 설화, 이것은 상고대라 불린다. 그리고 날씨가 풀려 눈이 녹을 만하다가 갑자기 매서운 한파가 몰아칠 때면 나뭇가지 위에 조그만 얼음조각, 드물게는 고드름이 주렁주렁 매달려 빛나는 자연의 예술품이 탄생한다. 이것이 바로 가장 화려한 설화로 빙화라고 불리는 것이다.
설화와 상고대는 고산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빙하는 드물게 일어나는 자연현상이러서 운이 따라야 볼 수 있다. 눈꽃이 유난히 아름다운 곳은 산과 골이 깊은 곳. 철쭉, 산벗나무, 싸리나무 등 키가 작고 겉가지가 무성한 잡목이 많은 곳이 설화 특유의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이 아름다운 눈꽃을 모두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은 한라산, 1950m 한국 최고를 자랑하는 한라산에서 눈꽃들이 저마다의 기교한 자태를 뽐내는 최고의 절정인 1월에 사람들의 축제가 열린다.
겨울 한라산이 주는 최고의 선물 ‘빙하’
1997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한라산눈꽃축제가 관광상품화 된 관광축제로 국내외에 발돋움하게 된 것은 제3회 '99한라산눈꽃축제 때부터이다.
축제기간을 고정하고(폐막일인 마지막 주 일요일을 기준으로 9일간)국내외 적극적인 홍보에 힘입어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 눈이 희귀한 동남아 지역과 눈이 희소한 중국, 일본 내 지역 관광객에게는 최적의 겨울여행지로 매력을 주고 있으며 현지 주요 유력지에서는 해마다 한라산눈꽃축제를 특집기획기사로 다루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