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대법원장, '사법행정 전면 칼질...'재판거래' 의혹 형사조치 만지작'
김명수 대법원장, '사법행정 전면 칼질...'재판거래' 의혹 형사조치 만지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金 "심한 충격과 실망감을 느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
‘재판 거래’ 파문으로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가운데 김명수 대법원장이 사법행정권 남용을 방지할 장치를 마련키로 했다 / ⓒ시사포커스DB
‘재판 거래’ 파문으로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가운데 김명수 대법원장이 사법행정권 남용을 방지할 장치를 마련키로 했다. 사진/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재판 거래’ 파문으로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가운데 김명수 대법원장이 사법행정권 남용을 방지할 장치를 마련키로 했다.

지난달 31일 김명수 대법원장은 이번 사법부 블랙리스트 특별조사단 조사와 관련 “참혹한 조사결과로 심한 충격과 실망감을 느끼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법행정권 남용이 자행된 시기에 법원에 몸담은 한 명의 법관으로서 참회하고, 사법부를 대표하여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했다.

이어 “조사결과를 접한 순간 비참한 심정을 억누르기 어려웠다”며 “제가 이번 특별조사 실시를 결단한 것은 지난 사법부의 과오와 치부를 숨김없이 스스로 밝혀냄으로써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었기에, 이번 조사결과를 사법부가 거듭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했다.

더불어 “이번 특별조사단의 조사결과는 현재의 사법행정과 법관인사 시스템으로는 사법행정 담당자가 권한을 남용해 사법부의 존립기반 자체를 위태롭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뼈아픈 현실을 확인시켜 줬다”며 “관련자들에 대한 책임을 묻는 절차와는 별개로 사법행정권 남용을 방지할 제도적 장치를 서둘러 마련하겠다”고 했다.

일단 김 대법원장은 “법원행정처를 비롯한 사법행정 담당자가 사법행정권이라는 이름 아래 재판의 진행이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봉쇄하고, 이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며 “앞으로의 사법부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절대 없을 것임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이어 “최고 재판기관인 대법원을 운영하는 조직과 사법행정을 담당하는 법원행정처의 조직을 인적•물적으로 완전히 분리하고, 법원행정처를 대법원 청사 외부로 이전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며 “법원행정처에 상근하는 법관들을 사법행정 전문인력으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도 조속히 시작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법관의 서열화를 조장하는 승진 인사를 과감히 폐지하는 등 사법부 관료화를 방지할 대책을 시행해 법관들이 인사권자나 사법행정권자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도 설명했다.

이외에도 “남용의 우려가 상존하는 사법부 내의 수직적이고 관료적인 의사결정 구조 역시 ‘국민과 함께하는 사법발전위원회’가 이미 제안한 바 있는 수평적인 합의제 의사결정구조로 개편하겠으며 사법행정의 주요 의사결정이 다수의 법관이 참여하는 합의제 기구의 논의를 거쳐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