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청와대 개입설’ 부인했지만…정권 전리품 전락하나
포스코, ‘청와대 개입설’ 부인했지만…정권 전리품 전락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랴부랴 해명자료 내며 “의혹 사실 아니다” 부인했지만
역대 포스코 회장 선임 정권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해
포스코 회장 선임에 또 다시 정권 인사 개입설이 터지면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포스코는 해명자료를 통해 의혹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당혹스런 분위기가 역력하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포스코 회장 선임에 또 다시 정권 인사 개입설이 터지면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포스코는 해명자료를 통해 의혹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당혹스런 분위기가 역력하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포스코 회장 선임에 또 다시 정권 인사 개입설이 터지면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정부는 관련 사실 의혹을 부인하며 사태 진화에 나섰고 포스코 역시 해명자료를 통해 의혹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당혹스런 분위기가 역력하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내·외부 인사 20여명으로 구성된 ‘최고경영자(CEO)승계 카운슬은 회장 후보 명단 작성을 마무리 짓고 이달 중순까지 5명으로 후보군을 압축해 면접을 본뒤 20일 안으로 최종 1인을 선정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런데 지난 4일 바른미래당에서 장하성 청와대 실장 뜻이라며 특정 인사를 포스코 회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전임 회장들에게 협조를 요청했다는 제보가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포스코 회장 인사 개입설을 주장했다. 김철근 대변인은 “공개적으로 경쟁하고 심사해서 선발해야 할 포스코 회장을 청와대 실세의 입김으로 내정한다면 이것이 적폐가 아니면 무엇이고 이전 정권과 다를 바가 무엇인가. 그야말로 권력의 문고리들이 국정을 농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권의 전리품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던 터라 정권의 인사 개입설은 회장 선임에 투명성을 기해온 포스코에선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때문에 지난 4일 의혹설이 터지자 이날 오후에 해명자료를 통해 의혹 사실을 부인하며 사태 진화에 나섰다.

역대 포스코 회장 선임에서 정권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았던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이번 장하실 실장의 포스코 회장 개입설도 해명으로 끝날 사안이 아니라는 점이다. 역대 포스코 회장 선임을 보면 정권과 코드가 맞는 인사를 선임하다 보니 정권이 바뀌면 전 정권에서 선임된 회장은 사퇴 수순의 전철을 밟아왔다. 새로 선임된 회장 역시 정권의 입김에 자유로울 수 없었다. 때문에 이번 정부에선 전 정권에서 선임된 권오준 회장이 임기를 마치는 선례를 남길지 관심이 모아졌지만 결국 사퇴 수순을 밟으면서 정부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꼬리를 물었다. 결국 회장 선임이 코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또 다시 정권의 인사 개입설이 불거지면서 의혹이 짙어졌다.

야당이 주장한 정권의 인사 개입설이 의혹 수준에서 끝나면 다행이다. 그렇지만 권오준 회장 퇴임부터 회장 선임 갈등과 잡음이 계속 일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보면 낙하산 인사가 내려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포스코 회장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사는, 장인화 사장(철강2부문장), 오인환 사장(철강1부문장), 박기홍 포스코에너지 사장, 황은연 전 포스코인재창조원장, 김준식·김진일 전 포스코 사장, 이영훈 포스코건설 사장, 최정우 포스코켐텍 사장이다. 특히 김준식 전 사장은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했으며 광양제철소장, 스테인리스사업부문장, 성장사업부문장, 대표이사(사장)를 역임한 인물로, 이낙연 국무총리와 동문이며 장하성 청와대 경제수석과 초등학교·중학교 동창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