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관련해 “종전선언은 완전한 비핵화의 달성 이후가 가장 좋고, 북한 체제 보장 차원에서 아무리 불가피하다고 해도 비핵화의 상당한 지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논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입장을 내놨다.](/news/photo/201806/186775_219231_48.jpg)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7일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관련해 “종전선언은 완전한 비핵화의 달성 이후가 가장 좋고, 북한 체제 보장 차원에서 아무리 불가피하다고 해도 비핵화의 상당한 지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논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입장을 내놨다.
홍 대표는 이날 오전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이번 미북회담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지는 것을 결단코 반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미국의 정치적 상황과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날이 지방선거 하루 앞이란 점에서 상당한 우려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미국 입장에선 북핵 동결과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제거를 통해 미국을 향한 직접적 위협을 제거하는 게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충분한 성과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홍 대표는 “그 대가는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와 지원이 될 것이고, 더 나아가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이란 북한의 체제보장 요구까지 받아들여질 수 있다”며 “(우리) 정부의 친북적인 자세를 감안하면, 이런 미봉책을 오히려 환영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차라리 회담을 안 하니 보다 못한 한반도 최악의 재앙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그는 “이번에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와 앉은 이유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압박과 제재의 결과”라며 “북한 김정은의 선의나 자발적 의지는 아니라는 것이 제 솔직한 판단”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홍 대표는 “이번 미북정상회담은 반드시 북핵의 완전하고 영구적인 폐기가 약속돼야 하고 그에 따르는 명확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며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문제 역시 결단코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