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용산 상가건물 붕괴 이후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단이 꾸려진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사고와 관련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안전점검단(50명)을 구성, 7월부터 찾아가는 안전점검을 무료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점검 신청대상은 사용승인 후 30년 이상된 노후 조적조(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로서 10층 이하, 연면적 1,000㎡ 이하인 소규모 건축물이며,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제외된다.
다만 점검 신청자가 많을 경우에는 신청 건축물 중 오래된 건물(사용승인연도 기준) 등에 대해 먼저 점검을 실시한다.
구조분야 외부전문가가 직접 현장을 방문, 건축물 상태를 육안 점검하여 외부 균열발생 등 안전취약건축물 여부를 판단하고 취약건축물로 판단될 경우 추가 정밀점검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 정밀점검을 통해 판명된 위험요인에 대해서는 신청자에게 구조체 보수 및 보강, 유지관리방안 등을 안내해 노후건축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더불어 서울시는 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대형 공사장 주변 노후건축물의 안전위해 요인발견 및 안전조치를 위한 표본 안전점검을 오는 22일까지 실시하고 있다.
점검대상은 대형공사장 주변(학교 주변 공사장 포함)의 4층 이하로서 40년 이상 된 건축물 총 90개소이며, 시는 건축구조기술사, 토질기초기술사 등 외부전문가 40명과 안전총괄본부 및 자치구 직원 60명으로 총 100명의 점검반을 편성됐다.
주요 점검사항으로는 주요 부재의 구조적 균열과 변형, 건축물의 부등침하, 건축물 축대, 옹벽의 안전상태 등이며 건축물과 관련된 전반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점검을 실시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