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서울시가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309개 정비구역 내 건축물 총 5만5천 여 동에 대한 전수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12일 서울시는 이 같이 밝히고 이외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관리처분인가를 받지 않아 노후한 상태로 남아있는 지역 내 건물들을 규모와 상관없이 모두 점검해 위험요소를 제거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당장 이번 주부터 실행에 들어가 10월 말까지 완료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건축법’에 따라 건축물의 유지관리 의무자는 건축물 소유자이지만 이번 용산 노후상가 붕괴 사로고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드러난 만큼 시장이 점검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투입해 전수조사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구역지정 후 10년이 경과된 건축물 182개소(3만 6,633동)에 대한 점검을 8월까지 마치고, 나머지 구역지정 후 10년 이내 건축물 127개소(1만 8,932동)도 10월말까지 단계별로 끝낸다는 계획이다.
안전점검은 서류점검 및 현장확인(전체), 육안점검(50년 이상 벽돌조, 30년 이상 블록조 등), 정밀안전점검(노후불량 및 위험발견 시), 정밀안전진단(보수보강 필요 시)으로 이뤄진다.
서류점검과 현장확인은 5만5천여 동 전체를 대상으로 서울시건축사회와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협조를 받아 진행한다. 건축물대장 등 에 나와있는 이력 등을 검토하고 현장을 확인한다.
육안점검은 이중에서 50년 이상 된 벽돌조, 30년 이상 된 블록조, 3층 이상 특정건축물 양성화된 건축물, 용도변경 된 조적조, 대형공사장 주변 주민신고•요청 건축물, 자가점검진단 후 요청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전체 중 20% 가량인 약 1만 600동이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서울시는 전수조사하는 정비구역 외에 일반구역에 대해서는 7월부터 찾아가는 안전점검을 무료로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