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야말로 진정한 보훈이고, 진정한 추모’라고 말했다.
26일 문 대통령은 청와대 공식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을 위한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보훈에는 국경이 없습니다”고 밝히며 이 같이 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 위에서 다시 일어나 높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을 이루었다”며 “(참전용사들은) 한국은 두 번째의 조국이며, 한국인은 내 가족“이라는 마음을 잊지 않았고 전쟁의 어둠이 남아 있던 나라에서 평화의 빛을 발하는 나라로 거듭 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대한민국이 이룬 성취가 기적이라면, 유엔참전용사 여러분이 바로 그 기적의 주인공”이라며 “우리는 유엔참전용사 한 분 한 분을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기억하고 나아가 참전용사들이 대한민국의 오늘을 자랑스러워하고, 가족과 후손들이 그 자부심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은 후손들에게 가치 있는 유산이 돼야 하며 그 분들의 후손과 한국의 청년들이 우정을 나누고 용사들의 삶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엔참전국 청소년 평화캠프’를 열겠다”며 “형편이 어려운 유엔참전용사의 후손들에게는 장학금을 지급하고 국내 유학 지원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또 문 대통령은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이 아니고 참전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겠다”며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기념 공원 안에 ‘추모의 벽’ 건립을 추진할 것으로 전몰장병 한 분 한 분의 숭고한 희생과 업적을 세계인과 함께 기억하고 기리겠다”고도 했다.
이어 “전쟁의 고통에 맞선 용기에 온전히 보답하는 길은, 두 번 다시 전쟁 없는 한반도, 평화의 한반도를 만드는 것이고, 평화야말로 진정한 보훈이고, 진정한 추모”라며 “용사 모두에게 존경을 바치며, 삼가 돌아가신 분들의 영원한 안식을 빈다”고 했다.
한편 당초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리는 6•25 참전용사 추모식에 참석하려다 기상 상태로 여건이 나빠져 불참하게 돼 기념사를 대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