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혐오·증오·차별 논란...빈곤과 양극화 해소에 주력해야”
홍익표 “혐오·증오·차별 논란...빈곤과 양극화 해소에 주력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테러와 전쟁의 원인은 종교나 민족의 문제라기보다는 빈곤과 양극화가 초래한 문제”
[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홍익표 민주당 수석부의장은 한국당이 법제사법위원장직을 차지하고 있던 전반기 국회 당시를 꼬집어 “법안 처리 과정에서 법사위가 법안을 처리하기 위한 게 아니라 완전히 법안을 막는 상임위처럼 작용했다”며 “정부여당 입장에선 운영위, 법사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3개 핵심 상임위는 양보하기 어렵다”고 입장을 내놨다.
홍익표 부의장은 12일 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최근에 혐오, 증오, 차별에 대한 논란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며 “이것은 사회적 통합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에 중대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매우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오종호 기자]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수석부의장이 최근 페미니즘을 표방하는 여성들의 ‘혜화동 시위’ 등 혐오와 차별에 관한 사회적 갈등에 대해 “불안과 공포, 차별을 없애려면 빈곤과 양극화 해소에 주력해야 한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홍익표 부의장은 12일 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최근에 혐오, 증오, 차별에 대한 논란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며 “이것은 사회적 통합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에 중대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매우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도 카톨릭 신자이기 때문에 성체 훼손이 얼마나 중대한 문제인지는 알고 있지만, 이러한 것이 페미니즘 전반에 대한 과도한 공격으로 또 다른 증오나 차별로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또 “도리어 성체 훼손을 계기로 해서 카톨릭을 비롯한 종교계가 우리 사회의 증오와 차별, 무분별한 혐오에 대해서 도리어 성찰하고, 우리 사회의 국민통합을 이루는 선도적 역할을 하는 계기로 삼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데 대해 그는 “반공주의와 색깔론이 그 힘을 잃어가자 인종, 종교, 민족, 출신지 등을 활용한 또 다른 불안과 공포를 조장하면서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거나 불안을 야기 시키는 것이 반복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홍익표 부의장은 “이것은 결코 21세기에 더 성숙된 민주사회로 가는 데 바람직하지 않다”며 “전 세계에서 테러와 전쟁의 원인은 실제로 이러한 종교나 민족이 문제라기보다는 빈곤과 양극화가 초래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진정한 의미에서 우리 사회 내에서의 불안과 공포, 차별을 없애고, 또 국제사회에서도 테러로 인한 공포를 없애려면 가장 우선적으로 해소해야 될 것은 빈곤과 양극화 해소에 힘을 주력해야 될 때”라며 “다시 한 번 사회적 통합과 우리 관용의 사회를 만들기 위한 종교계를 비롯해서 정치권 등의 사회적 각층이 조금 더 이 문제를 둘러싼 높은 수준의 사회적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