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한미군사훈련 유예 배경을 두고 ‘대화를 지속하기 위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1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번 싱가포르 방문을 계기로 스트레이츠 타임스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특히 문 대통령은 서면 인터뷰를 통해 “남북미 정상이 합의한 대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에 다다르려면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실천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싱가포르를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해나갈 것을 밝혔습니다.
더불어 한미훈련 유예에 대해 “한미 양국은 최근 북한의 태도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그런 만큼 북한의 관심사항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고, 이에 따라 대화가 지속되는 동안 한미 연합훈련을 유예하기로 한 것”이라고 했다.
다만 “주한미군은 다른 차원의 문제”라며 “한미동맹의 문제이지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논의될 의제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을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 전쟁 종전선언 추진 계획에 대해 “종전선언은 상호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관계로 나가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표명하는 정치적 선언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협정체결 등 항구적 평화 정착 과정을 견인할 이정표가 되는 셈”이라고 했다.
이어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이 되는 올해 종전을 선언하는 것이 우리 정부의 목표”라며 “시기와 형식 등에 대해서는 북한, 미국 등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며, 현재 남북 및 북미 간 추가적인 협의가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