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노인성 백내장'만을 인식하고 있지만, 백내장의 종류는 여러가지로 나뉠 수 있다
▲ 선천성 백내장
원인불명이 대부분이지만, 유전이나 선천성 대사장애, 염색체 이상 등의 전신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잦다. 따라서, 안과적 검사와 함께 내과적 검사를 필요로 한다.
▲ 후발성 백내장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증상. 백내장이 다시 생기는 것은 아니며, 인공수정체를 넣은 낭에 혼탁이 오는 것을 가리킨다. 이 때문에 시력저하가 생길 경우, 간단한 레이져요법을 통해 전의 시력을 회복할 수 있다.
▲ 노인성 백내장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 보통 50세 이후에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백내장이 생기게 되는데, 이처럼 노화되면서 수정체가 투명성을 잃어가는 질환에 속한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에게 일어나진 않으며, 수술 받기 전, 정기적 관찰 및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
▲ 당뇨병성 백내장
유아성 당뇨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흔치 않은 증상. 양안에 모두 나타나고, 진행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성인의 경우, 노인성 백내장이 당뇨가 아닌 환자보다 더 일찍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당뇨가 있다 해서 백내장 수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합병성 백내장
녹내장이나 망막박리, 포도막염, 유리체의 변성/출혈, 약제 부작용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수정체에 혼탁이 오는 경우를 가리킨다. 따라서 백내장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더라도 합병 질환의 정도에 따라 시력회복 여부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 외상성 백내장
외상으로 인해 수정체가 파열되는 경우, 또는 파열까지 이르진 않았더라도 수정체 혼탁이 올 정도의 타박을 받은 경우를 가리킨다. 안구내의 다른 부분에 손상이 온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시력회복이 좋다고 보기엔 힘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