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폭염 속 '화재현장' 투입 소방관, 2~30분 투입 교대근무
최악의 폭염 속 '화재현장' 투입 소방관, 2~30분 투입 교대근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무 교대 뒤 '회복지역' 휴식...화성-용인-안산 등서 시범운영
연일 폭염 속 화재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을 대상으로 교대근무를 시범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시사포커스DB
연일 폭염 속 화재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을 대상으로 교대근무를 시범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연일 폭염 속 화재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을 대상으로 교대근무를 실시할 예정이다.

2일 경기도 재난안전본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여름철 재난 현장활동 지원대책을 마련, 6일부터 화성, 용인, 안산 등 5개 소방서에서 시범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지원 대책에 따르면 경기도는 우선 화재진압에 투입되는 현장대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얼음조끼를 착용하도록 하고 20~30분 주기로 교대근무를 실시하도록 했다. 

현재는 현장에 도착하는 순서대로 현장지휘관 통제에 따라 화재현장에 투입되며, 별도의 교대근무 지원체계는 마련돼 있지 않는 상황이다.

또 임무를 교대한 대원은 ‘회복지역’에서 간단하게 신체상태를 확인하며 수분섭취와 세면 등을 하게 된다. 이후에는 냉방 버스에 탑승해 20~30분 정도 휴식을 취한 다음 다시 교대투입 된다.

도 재난안전본부는 별도의 인력충원 없이 화재규모와 현장 투입인력 규모에 따라 현장지휘관이 화재진압대원을 2~3개조로 나눠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현장 지원에 필요한 버스나 텐트, 아이스팩, 발전차 등은 현장에서 도 지휘센터에 요청할 경우 인근 소방서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도는 시범운영 후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최대한 빨리 도내 전 지역으로 관련 대책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의 한 관계자는 “요즘 같은 폭염 속에서 화재 진압 대원들이 약 20Kg의 개인보호장비와 방화복을 입고 활동을 하다보면 내부 온도가 50℃를 웃돌아 장기간 활동 시 탈진이 우려된다”면서 “소방관 보호와 효율적 화재 대응을 위한 조치”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