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기무사 특수단, 계엄 시행 준비 내용 확인...세월호 사찰 정황 포착
軍 기무사 특수단, 계엄 시행 준비 내용 확인...세월호 사찰 정황 포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계엄문건 보고서의 원래 제목은 ‘현 시국 관련 대비계획’으로 파악
군 기무사 특수단이 기무사의 세월호 민간인 사찰 의혹 및 계엄 문건 작성 의혹과 관련해 수사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 ⓒ뉴시스DB
군 기무사 특수단이 기무사의 세월호 민간인 사찰 의혹 및 계엄 문건 작성 의혹과 관련해 수사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 ⓒ뉴시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군 기무사 특수단이 기무사의 세월호 민간인 사찰 의혹 및 계엄 문건 작성 의혹과 관련해 수사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3일 기무사 특수단은 지난 달 16일부터 구성돼 출범 이후부터 언론 등에서 제기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관련자 소환 및 기무사에 대한 압수수색 등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수사 개시와 함께 관련 USB를 확보했으며 이후 계엄문건 작성 TF원 등 25명 소환조사, 압수물 분석, 관계자 진술 등을 통해 계엄문건 보고서의 원래 제목은 언론에 공개된 제목인 ‘전시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이 아닌 ‘현 시국 관련 대비계획’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어 기무사는 계엄문건 작성 TF를 비밀리에 운영하기 위해, ‘미래 방첩업무 발전방안’ TF란 이름으로 인사명령, 예산 및 별도 장소를 확보했고, 망이 분리된 PC를 이용해 문건을 작성했으며, TF 운영 이후 사용된 전자기기를 포맷했다고 설명했다.

또 특수단은 USB 안에 수백 개의 파일이 저장됐다가 삭제된 흔적을 발견하고 이 중 상당수를 복구했다며 복구된 일부 파일에 ‘계엄시행준비’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점에 주목하고, 압수물 분석자료,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월호 민간인 사찰 의혹 수사와 관련해 기무사는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현장지원 등을 명목으로 세월호TF를 구성해 일반 지원업무 외에도 유가족을 사찰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근거로 현장 및 사이버 사찰을 통해 유가족의 성향, 정부발표에 대한 반응, 일부 유가족의 사진, 학력,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해 보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