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질환 등 위해사례가 빈번하게 발생...수질관리 중요하다는 의견 나와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매년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워터파크에서 피부질환 등의 위해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수질관리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8일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워터파크 수질 관련 위해사례가 총 36건이며, 수질의 안전성 검증이 시급하다는 국민제안도 접수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에 소비자원은 국내 워터파크 4곳(캐리비안베이, 오션월드, 웅진플레이도시, 롯데워터파크)을 대상으로 수질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현행 국내 수질 유지기준(유리잔류염소, 수소이온농도, 탁도,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대장균군)에는 적합했지만, 미국과 WHO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합잔류염소의 유지기준(0.2mg/L 이하)에는 부적합하다고 전했다.
특히 소독제인 염소와 이용객의 땀·오줌, 기타 유기오염물이 결합해 형성되는 결합 잔류염소는 물 교체주기가 길고 이용자가 많을수록 수치자 높아져 눈, 피부 통증이나 호흡기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이에 소비자원은 미국과 영국, WHO 등에서 수질검사항목에 결합잔류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등, 보다 엄격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검사항목을 추가하는 등 국제적 수준으로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물놀이형 유원시설(워터파크)’의 ▲검사항목 추가 등 수질 유지기준 강화 ▲수질검사 실시 주체 명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