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군 당국은 남북 비무장지대 6.25전사자 유해 공동발굴에 대비해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유가족 DNA 추가확보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9일 국방부는 이 같이 밝히며 이번 방안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합의한 비무장지대의 실질적인 평화지대화를 위해 적극 추진 중인 ‘유해공동발굴’의 내실있는 추진을 보장하기 위한 대통령 지침에 따른 조치하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우선적으로 국방부는 내년까지 유해발굴 전문인력 4개 팀(48명)을 증편할 계획이다. 이는 DMZ 지역에서 독자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와 발굴, 감식 분야 전문인력으로 구성된다.
특히 군 당국은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선배 전우들을 하루라도 빨리 찾아 가족의 품에 돌려드린다’는 원칙아래 유해발굴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남한지역에서뿐만 아니라 DMZ 지역에서도 유해발굴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시 투입태세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남한지역 9만여 명, DMZ과 북한지역에 4만여 명의 국군 전사자 유해가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양구, 철원 등의 DMZ 지역은 과거 ‘백마고지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등의 격전지이다.
이와 함께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DNA 추가확보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유해발굴 사업을 통해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1만여 명으로 이중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129명이다.
이는 전사자 기준 확보된 유가족 DNA가 32,000여 명으로 6.25전사자 유가족의 24%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방부는 유가족 DNA 확보를 위한 전담인력을 현행대비 4배로 확충하고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는 등 보다 공세적으로 유가족 DNA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같은 날 송영무 국방장관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끝까지 찾아 책임지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임을 강조하고, 쉽지 않은 여정이 되겠지만 영웅들이 유해를 찾기 위해 마지막 한분을 모시는 그날까지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