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전국 초중고교의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교육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초4~고3) 학생들의 학교폭력 경험 및 인식 등을 17개 시·도교육감이 공동으로 조사한 ‘2018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해응답률이 1.3%(5만 명)로 지난해 1차 대비 0.4%p 증가했다.
또 초등학생의 피해응답률 증가(0.7%p)가 중·고등학생(각 0.2%p, 0.1%p 증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 피해응답률은 1.3%(5만 명)로 지난해 1차 대비 0.4%p 증가했고,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초등학교 2.8%, 중학교 0.7%, 고등학교 0.4%로, 지난해 1차 대비 각 0.7%p, 0.2%p, 0.1%p 증가했다.
피해유형별로 학생 천 명당 피해응답 건수는 언어폭력(8.7건), 집단따돌림(4.3건), 스토킹(3.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비율은 언어폭력(34.7%), 집단따돌림(17.2%), 스토킹(11.8%) 등의 순이며, 특히 사이버 괴롭힘(10.8%) 비율이 신체폭행(10.0%)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해사실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했다는 응답 비율은 80.9%(가족 44.5%, 선생님 19.3% 등의 순)로 2.1%p 증가해, 학교폭력 대처방안에 대한 피해학생들의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 학교폭력 목격 학생의 알림·도움 비율은 68.2%이고 ‘모른 척 했다’의 방관 응답은 30.5%로 10.2%p 증가해 가·피해학생 교육 외에도 학생 전반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