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사업 99곳 선정...낙후 지역경제 활성화 중점
도시재생 뉴딜사업 99곳 선정...낙후 지역경제 활성화 중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형 촐페라인 탄광재생(강원 태백) 등 뉴딜사업 본격 추진
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가 열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회의실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가 열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회의실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서울, 부산, 대구 등 각 7곳을 포함한 99곳이 선정됐다.

31일 정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제11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결정한 뉴딜사업 선정계획에 따라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총 99곳이 선정됐다.

선정된 사업 중 파급효과가 큰 중-대규모 사업(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 20곳은 지역의 쇠퇴한 산업기반을 회복토록 하여,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그 밖의 사업들은 지역주민들이 직접 사업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소규모 사업으로서, 기초적인 생활인프라를 공급하고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게 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선정 지역은 전국적인 인구감소 지역 증가와 고령화 가속화 등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시급히 대응하기 위해, 지난 해 시범사업 68곳 대비 31곳을 늘렸다.

전체 사업의 약 70%(69곳)를 시•도에서 선정하게 하여 지역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했으며, 중앙정부는 약 30%(30곳)를 선정했다.

더불어 사업 선정시에는 특정지역에 사업이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 간 형평성을 고려하는 한편, 지역규모 및 사업준비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서 시•도별 최대 9곳, 최저 2곳 등 골고루 선정했다고 정부는 밝혔다.

주요 선정사업 내용은 지역경제의 활력 제고, 기초생활인프라 확충 등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활여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역밀착형 생활 SOC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우선 지역 내 쇠퇴한 산업기능 회복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여 지역 일자리를 만들고 도시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사업(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은 20곳에서 추진키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