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지난 8월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 블라인드에는 ‘공기업에서 정치기부금 모금을 강요하고 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을 작성한 A씨는 “(코레일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국회의원들한테 잘 보이려고 부서마다 국회의원 정해서 개인 명의로 납부하고 명단 제출하래”라고 글을 시작했다.
이어 “납부자에 회사명은 절대 쓰지 말고”라며 “이래도 되는 거야?”라고 글을 끝 맺었다.
이 논란에 대해 코레일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그런 적이 전혀 없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13일 KBS 뉴스는 코레일이 각 직원들에게 특정 정치인을 후원하라고 요구했다며 이메일 등 증거자료를 공개했다. 증거자료에 따르면 코레일은 각 부처별로 특정 의원을 할당하기도 했다.
아울러 코레일은 직원들에게 납부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며, 회사명은 밝히지 말라고 당부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논란에 일각에서는 코레일과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긴밀한 업무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편법으로 로비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을 내비쳤다.
실제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는 국토교통위원회에 소속된 의원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국토부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예산 집행 및 감사 등을 진행한다.
이에 국토부 산하의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은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해마다 국정감사 등을 받게 된다.
이와 관련 현행법상 정치 후원금은 개인이 아닌 단체 등은 기부할 수 없으며 연말 정산 등의 혜택을 받고 있다.
한편 본지는 코레일 입장을 듣고자 수차례 전화 연결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