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한국형발사체’인 ‘누리호 시험발사체’가 내달 25일과 31일 사이 발사가 추진된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외부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통해 누리호 시험발사체의 기술적인 발사 준비상황과 최적의 발사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내달 25일에서 31일 사이에 발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험발사체의 최종 발사일과 발사시간은 향후 기상상황 등을 고려해 발사 예정일에 임박해 결정될 예정이지만 준비 과정의 문제가 없다면 10월 25일로 추진될 전망이다.
다만 향후 기후상황 등에 따른 일정 변경 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을 10월 26일에서 10월 31일로 설정됐다.
특히 이 기간 기상조건 등에 따라 실제 발사가 발사예정일과 발사예비일 기간 내에 추진되지 못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누리호 시험발사체는 독자 개발한 75톤급 엔진의 실 비행 검증 및 추진기관, 구조, 제어 등 서브시스템, 지상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발사할 예정이며,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 후 약 10여분 비행한 뒤 공해상에 낙하할 예정이다.
특히 발사를 위해 항공우주연구원 등 연구진은 75톤 엔진의 지속적인 성능검증을 위해 엔진 연소시험을 91회, 최장 연소 시간 260초, 누적 연소시간 7,291.4초를 수행한 바 있다.
더불어 정부와 관련 전문가는 발사 당일 스케쥴을 고려하여 발사 예정 시간대를 설정했는데 발사 당일에는 발사 전에 최종점검 및 추진제 충전 등에 8시간 정도의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때문에 오전으로 설정할 경우 연구원의 야간작업이 불가피해, 연구원들의 피로 누적 및 작업환경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발사시간대를 오후 3시와 7시 사이로 결정했다.
한편 시험발사체는 우주 궤도에 진입하지 않는 발사체로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 후 약 160여초 뒤 100km 고도를 넘어 300여초 경 최대 고도에 도달하며, 600여초 뒤 제주도와 일본 오키나와 사이 공해상에 낙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