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20일 평양공동선언에 대해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폐쇄를 선제적 비핵화 조치로 내세우면서 미국의 선 종전선언과 후 비핵화 후속조치를 주장해 왔던 그간의 주장에서 크게 벗어나진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꼬집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 참석해 “김 위원장의 의지를 육성으로 들었지만 아직 부족하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이어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은 이미 북미 합의에서 나온 이야기”라며 “영변 핵시설 폐기도 ‘미국의 상응할만한 조치’란 전제가 달리고 용도가 한참 떨어진 시설이란 것이 객관적 분석”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북한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증명할 수 있도록 정부도 노력하고 정치권도 초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평양회담의 결과를 놓고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비핵화 조치가 실질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더욱 비상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다만 그는 일부 부분에 대해선 호평하기도 했는데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 김 위원장의 육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 데 이어 “남북 간의 적대 행위 중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 올림픽 공동개최 추진 등 한반도 긴장완화의 측면에서 평가할 만한 내용들이 담겼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인터넷은행 특례법, 규제프리존법 등 쟁점법안 협상과 관련해선 “현재의 어려운 경제 여건을 감안해 큰 틀에서 합의했다”며 “각 상임위에선 대승적 차원에서 서둘러 마무리 되도록 적극 심사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