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류위조·이메일해킹·금품갈취 등 국제 무역사기 잇따라
서류위조·이메일해킹·금품갈취 등 국제 무역사기 잇따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류위조로 더 치밀하게, 지재권 도용 등으로 더 대담하게, 불법체류까지 더 다양하게
사진 / 코트라
사진 / 코트라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제 무역사기는 서류 위조 등으로 더욱 치밀해지고 지재권 도용 등 더움 대담해지면서, 불법체류를 목적으로 한 사기 및 다양한 위법행위간 결합으로 더욱 다양해지고 있어 우리 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OTRA는 26일 발간한 '2017/18 무역사기 피해현황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최근 1년간(2017년 8월~2018년 8월) KOTRA해외무역관에 접수·보고된 137건의 무역사기 사례를 분석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서류위조(25%), 이메일 해킹(18%), 금품갈취(15%) 피해사례가 많았으며, 지적재산권 도용, 해외투자사기 등 더욱 대담한 유형의 무역사기도 눈에 띄었다.

이에 KOTRA는 거래 전 업체의 신용도, 과거 거래내역 등 기본적인 기업 정보 확인을 통해서 상당수의 무역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메일 해킹의 경우 유선, 팩스, 화상회의 등 이메일 외 다른 교신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라면서, 계약서에 수취계좌 변경시의 프로토콜을 명시하는 등 사전 안전장치를 구축해 놓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민호 KOTRA 무역기반본부장은 "최근의 무역사기 사례는 사기 유형이 복합화되고 사기목적이 다양해져 우리 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라면서 "호의적인 조건일수록 바이어 정보 확인 및 진위 파악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