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572돌 한글날을 맞아 12년 만에 처음으로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경축식이 개최됐다.
9일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한글 발전 유공 포상 수상자와 한글 및 세종대왕 관련 단체 관계자, 주한외교단, 시민·학생 등 1천 2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축식을 개최한다.
특히 이번 경축식은 국경일로 격상된 2006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실외행사로 개최된다.
경축식은 이번에 대통령 단체 표창을 수상하는 KBS의 한글 퀴즈 프로그램인 ‘우리말 겨루기’에서 진행을 맡고 있는 엄지인 아나운서의 사회로, 한글날 소개 영상, 국민의례, 훈민정음 머리글 읽기, 한글 발전 유공자 포상, 축하말씀, 축하공연, 한글날 노래 다 함께 부르기, 만세삼창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후 한글의 창제과정과 과학성,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그리고 문화한류로써 전 세계에 뻗어 나가는 한글의 우수성을 소개하는 영상이 상영되고, 이어서 국민의례가 진행됐다.
애국가는 귀화방송인 방대한 씨와 함께,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뉴질랜드의 한글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황재길·고정미 씨, 한남대학교 국어문화원 소속 우리말 가꿈이 대학생 김휘중·조수아 씨의 선도로 4절까지 다 함께 불렀다.
또 축하공연은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기리며 가사를 붙인 ‘그 날엔 꽃이라’를 테너 임정현 씨가 부르고, 한글을 목숨처럼 지켜낸 외솔 최현배 선생의 이야기를 뮤지컬로 재구성해 공연했다.
이후 만세삼창은 국립한글박물관이 주최한 ‘2018년 한글 손편지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이규안 어린이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최홍식 회장과 함께 한글 사랑을 약속하며 외치기도 했다.
이외 한글 발전 유공자 포상은 30여 년 간 대학교수로 재직하며 한글과 우리말 연구에 평생을 바친 故 김수업 선생(前 진주문화연구소 이사장) 등 8명(개인 5, 단체 3)에게 수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