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남북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 이어갈 것'
이낙연 총리, '남북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 이어갈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무현 정부때 멈춘 '겨레말 큰사전' 편찬 文정부에서 다시"
572돌 한글날인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열린 경축식에 참석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경축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572돌 한글날인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열린 경축식에 참석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경축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이낙연 총리는 남북이 함께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낙연 총리는 9일 572돌 한글날을 맞아 12년 만에 처음으로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개최된 경축식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주셨을 때는 우리 겨레가 하나였다”고 운을 뗐다.

하지만 이 총리는 “세계냉전은 겨레와 땅을 두 동강 냈고 조국분단 70년은 말의 뜻과 쓰임새마저 남과 북에서 달라지게 바꾸고 있다”며 “2005년 노무현 정부는 북한과 함께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시작했지만 이 일은 남북관계의 기복으로 멈췄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문재인 정부는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이어가려 한다”며 “이렇게 남과 북이 달라진 것들을 서로 알고 하나 되게 하는 일을 더는 늦출 수 없다”고 했다. 

더불어 “이런 일이 쌓이고 또 쌓이면 남과 북이 세종대왕 때처럼 온전히 하나되는 날도 좀 더 빨리올 수 있다고 저는 믿는다”며 “그렇게 함께 힘쓰기를 오늘 모두가 세종대왕께 다짐 드리자”고도 했다.

또 이낙연 총리는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키며 다듬으며 가꾸는 것도 우리가 마땅히 할 일이며 한글학회를 비롯한 학계, 시민단체와 함께 모두가 애쓰자”며 “정부가 앞서겠고 둘도 없이 값진 한글과 그것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고마움을 생각하는 오늘이 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