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난 됐던 '익안대군 영정', 18년 만에 제자리로 귀환
도난 됐던 '익안대군 영정', 18년 만에 제자리로 귀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0년에 도난돼 일본으로 밀반출된 후 다시 국내서 다시 재판매 둔갑
익안대군 영정 / ⓒ문화재청
익안대군 영정 / ⓒ문화재청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도난 됐던 태조 이성계의 셋째아들 ‘익안대군’의 영정이 18년 만에 전주이씨 종중의 품으로 돌아간다.

10일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에서는 지난 2000년 1월경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전주이씨 종중에서 도난당한 ‘익안대군 영정‘(현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9호) 1점을 지난달 회수해 이날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반환식을 가졌다.

‘익안대군 영정‘은 충남 논산 전주이씨 종중이 영정각 내에 모시고 있다가 도난당한 것으로, 절도범으로부터 장물(영정)을 산 브로커가 일본으로 밀반출한 후 다시 구입하는 수법으로 위장돼 국내로 반입됐다.

이후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은 영정이 국내에서 숨겨져 있다는 첩보를 지난해 입수하고 지속해서 수사한 끝에 이번에 영정을 회수하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

회수된 익안대군 영정은 태조 이성계의 셋째아들 방의의 초상화(인물화)로 조선 시대 도화서 화원 장득만이 원본을 참고해 새로 그린 이모본 작품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 사대부 초상화의 전형적인 형식과 화법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부자지간인 현재 태조 어진과의 용모를 비교해 볼 수 있으며, 형제 관계인 정종과 태종의 모습 또한 유추해 볼 수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초상화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익안대군(1360~1404)은 1392년 이성계가 즉위하자 익안군에 봉해졌으며 1398년(태조 7년)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 이방원을 도와 정도전 세력을 제거함으로써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고 이방원이 실권을 장악한 뒤 방원, 방간과 함께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된 역사적인 인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